맨위로가기

영화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화의 역사는 인간의 영상에 대한 오랜 관심에서 시작되어, 사진술과 영화 촬영 기술의 발전을 거쳐 1895년 뤼미에르 형제의 시네마토그래프 공개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무성 영화 시대를 거쳐 유성 영화 시대로 발전하면서 기술적, 예술적 변화를 겪었고, 각국에서 다양한 영화 운동과 장르가 등장했다. 20세기 후반에는 텔레비전의 등장으로 위기를 겪었지만, 디지털 기술과 새로운 시도로 영화는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화의 역사 - 뤼미에르 형제
    뤼미에르 형제는 시네마토그래프를 발명하여 영화의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이후 컬러 사진 연구에 매진하여 뤼미에르 연구소가 설립되었다.
  • 영화의 역사 - 동시 상영
    티켓 한 장 가격으로 두 편의 영화를 상영하는 방식인 동시 상영은 대공황 시기에 등장하여 주된 상영 형태로 자리 잡았으나 블록 부킹 관행 불법 판결로 쇠퇴, 이후 더블 피처 형태로 부활하거나 "바벤하이머" 현상으로 재조명받기도 했다.
영화의 역사
영화사
기원사진술과 연속 사진 기술의 발전
발명 연도1890년대
주요 발명가루이 르 프랭스
윌리엄 프리즈-그린
토머스 에디슨
뤼미에르 형제
초기 영화
초기 영화의 특징짧고 기록적인 영상, 연극, 발레 공연 등
주요 제작사에디슨 영화
뤼미에르
조르주 멜리에스
무성 영화 시대
무성 영화 시대의 특징자막과 라이브 음악으로 설명
다양한 국가에서 영화 제작 활발
주요 영화달세계 여행 (1902)
국가의 탄생 (1915)
황금광 시대 (1925)
전함 포템킨 (1925)
유성 영화 시대
유성 영화 시대의 시작1920년대 후반, 사운드 기술 도입
유성 영화 시대의 영향영화 산업의 급격한 성장과 변화
주요 영화재즈 싱어 (1927)
오즈의 마법사 (1939)
시민 케인 (1941)
카사블랑카 (1942)
컬러 영화 시대
컬러 영화 시대의 시작1930년대, 컬러 기술 도입
컬러 영화 시대의 영향영화의 시각적 표현 다양화 및 발전
주요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1939)
애쿼맨 (2018)
뉴 웨이브 영화
뉴 웨이브 영화의 특징영화 문법의 혁신과 실험
사회 비판적인 내용
주요 영화 운동프랑스 누벨 바그
이탈리아 네오레알리즘
뉴 저먼 시네마
디지털 영화 시대
디지털 영화 시대의 시작21세기, 디지털 기술 도입
디지털 영화 시대의 영향영화 제작 및 배급 방식의 변화, 새로운 시각 효과 가능
주요 기술컴퓨터 그래픽 (CG)
디지털 시네마
스트리밍 서비스
영화 기술의 발전
영화 기술의 발전3D 영화
아이맥스
가상 현실 (VR) 영화
영화의 미래
영화의 미래기술 발전과 함께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 예상

2. 영화의 탄생과 초기 발전

인간이 영상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아주 오래 전 일이다.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폴리테이아》에서 동굴의 비유를 들어 설명했다. 다빈치도 인간의 눈을 어둠상자의 원리에 비유했으며, 16세기 이탈리아 조각가 델라포르타는 '암상자의 원리'를 처음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개념은 18세기 중반 환등기의 개념으로 이어져 18세기 후반에는 세계 각지에 널리 알려졌다.

영화 발명에 필수적인 사진기와 필름은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 1757년 I. B. 베커리는 은의 염화물을 이용한 감광막에 대한 광선의 작용을 발견했다. 1802년 웨지우드는 사진술의 기술과 정의를 확정했고, 1826년 니엡스는 아스팔트 감광층에 영상을 고정하는 데 성공했다. 1870년대에는 긴 노출 시간이 필요 없는 렌즈와 젤라틴 감광체가 등장했고, 1882년 이스트먼은 젤라틴지 박리 필름을, 1885년에는 셀룰로이드 필름을 사용했다.

1895년 12월 28일, 뤼미에르 형제는 파리의 그랑 카페에서 시네마토그래프를 공개하고, 이듬해 3월 22일 《열차의 도착》을 시사하여 특허를 얻었다. 이를 영화의 탄생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1889년 에디슨키네토스코프를 비롯하여 미국의 바이타스코프와 판타스코프, 독일의 스클라다노프스키의 비오스코프, 영국의 윌리엄 폴의 애니마토그래프 등 여러 유사한 장치들이 고안되었지만, 뤼미에르 형제의 시네마토그래프가 기술적으로 가장 우수하고 흥행에도 성공하여 영화를 대표하게 되었다.

기네스북이 인정한 세계 최고(最古)의 실존하는 영화 필름 『라운드헤이 가든 시퀀스』(1888년)의 한 장면.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마레, 미국의 마이 브리지, 독일의 앤슈츠 등은 사진 기술을 현실의 운동 기록과 재현에 응용하려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1893년 토머스 에디슨키네토스코프를 공개했고, 뤼미에르 형제시네마토그래프 뤼미에르를 개발하여 1895년 3월 파리에서 공개했다. 같은 해 12월 28일 파리의 그랑 카페에서 유료 시사회를 열었다.

뤼미에르 형제 등이 공개한 세계 최초의 영화는 증기 기관차가 들어오는 장면을 원 테이크로 찍은 『라 시오타 역으로의 열차 도착』, 공장에서 일을 마친 직원들이 나오는 모습을 담은 『공장에서의 출구』 등이다. 처음 영화를 본 관객은 "열차의 도착"을 보고 화면에서 다가오는 열차를 무서워하여 관람석에서 뛰쳐나왔다는 일화도 있다. 이후 줄거리를 포함한 연출 작품이 만들어졌는데, 『물을 뿌린 정원사』는 정원사와 소년의 이야기를 담아 코미디 영화의 시초 중 하나가 되었다.

초기 영화는 무성 영화였으며, 1920년대 말 토키 영화가 등장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시네마토그래프의 투영기는 요란한 소음을 냈고, 이를 흐리게 하기 위해 피아노나 발로 밟는 오르간 연주와 함께 상영하는 형식이 보급되었다.[136]

1895년, 메리 여왕의 처형은 세계 최초의 호러 영화로 꼽히며, 트릭 촬영이 행해진 작품이다. 일본 최초의 영화는 1896년 11월 고베에서 공개되었고,[137][138] 1897년에는 교토시에서 시네마토그래프에 의한 상영회 기록이 있다.[139][140] 초기 영화는 일본에서 "활동 사진"으로 불렸고, 활동 변사가 해설을 하는 상영 수법이 있었다. 일본 최초의 "활동 사진" 제작은 1899년 아사노 시로 등에 의해 이루어졌고, 같은 해 권총 강도 체포를 요코야마 운페이 주연으로 촬영한 극 영화가 공개되었다.

1898년, 세계 최초의 크리스마스 영화 『』가 발표되어 다중 노출 등의 기법이 사용되었다.

인천 해전에 관한 영화, 에디슨 스튜디오 제작 (1904년)


1902년 세계 최초로 이야기 구성을 갖춘 영화 《달세계 여행》이 조르주 멜리에스에 의해 제작되어 SF 영화이자 VFX 영화의 시초가 되었다. 1903년 에드윈 포터 감독의 《대열차 강도》는 세계 최초의 서부극이며, 교차 편집이 처음 사용되었다. 1906년 제임스 스튜어트 블랙턴/J. Stuart Blackton영어 감독의 《유쾌한 백면상/Humorous Phases of Funny Faces영어》은 세계 최초의 애니메이션 영화로 여겨진다.

2. 1. 초기 영사 기술

인간은 영상에 대한 관심을 오래전부터 가져왔다.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폴리테이아》에서 동굴의 비유를 통해 어두운 동굴 속에서 불빛에 비친 그림자를 통해 사물을 인지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다. 다빈치도 인간의 눈을 어둠상자의 원리에 비유했으며, 16세기 이탈리아 조각가 델라포르타는 '암상자의 원리'를 처음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개념은 18세기 중반 환등(幻燈)으로 이어져 18세기 후반에는 세계 각지에 널리 알려졌다.

영화 발명에 필수적인 사진기와 필름은 시간이 더 필요했다. 1757년 I.B.베커리가 은의 염화물을 이용한 감광막에 대한 광선의 작용을 발견했다. 이후 여러 사람의 노력을 거쳐, 1802년 웨지우드가 사진술의 기술과 정의를 확정지었고, 1826년 니엡스는 아스팔트 감광층에 영상을 고정하는 데 성공했다. 1870년대에는 장시간 노출이 필요 없는 렌즈와 젤라틴 감광체가 등장했고, 1882년 이스트먼은 젤라틴지(紙) 박리 필름을, 1885년에는 셀룰로이드 필름을 사용했다.

1895년 12월 28일, 뤼미에르 형제는 파리의 그랑 카페에서 시네마토그래프(Cinematographe)를 공개하고, 이듬해 3월 22일 《열차의 도착》을 시사하여 특허를 얻었다. 이를 영화의 탄생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이전에도 유사한 장치들이 고안되었는데, 1889년 에디슨키네토스코프(kinetoscope)가 대표적이다. 미국에서는 토머스 아매트와 프랜시스 젱킨스가 바이타스코프(Vitascope)와 판타스코프(Phantascope)를, 독일에서는 스클라다노프스키가 비오스코프(Bioskop)를, 오스카 메스커가 비오폰(Bio­phon)을, 영국에서는 윌리엄 폴이 애니마토그래프를 발명했다. 1896년 에디슨도 바이타스코프를 발표했고, 이탈리아와 러시아에서도 유사한 장치들이 소개되었다. 이 장치들은 개별적으로 고안되었지만, 스크린에 비춰진 영상이 움직이도록 만들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영화는 개인의 발명이라기보다 시대의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뤼미에르 형제의 시네마토그래프가 영화를 대표하는 이유는 기술적 우수성과 흥행 성공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기 때문이다.

1895년, 미국의 알프레드 클라크가 발표한 『메리 여왕의 처형』은 세계 최초의 호러 영화로 꼽힌다. 메리가 처형대 위에 목을 놓고, 처형인이 도끼를 휘두르려고 할 때 카메라를 멈추고, 메리의 인형으로 바꿔 촬영을 재개하는 "스톱 트릭" (중단, 교체 등이라고도 함)이라는 기법을 사용하여, 영화 사상 처음으로 트릭 촬영이 행해진 작품이라고 한다.

영화는 19세기 말 프랑스, 미국, 영국, 독일 등에서 거의 동시에 탄생하여, 불과 몇 년 만에 전 세계로 퍼져나가 20세기의 예술로서 각광받게 되었다.

2. 2. 초기 영화의 내용

인간의 영상에 대한 관심은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다.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폴리테이아》에서 동굴의 비유를 통해 영상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다빈치도 인간의 눈을 어둠상자의 원리에 비유했으며, 16세기 이탈리아의 조각가 델라포르타는 '암상자의 원리'를 처음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개념은 18세기 중반 환등기의 개념으로 이어져 18세기 후반에는 세계 각지에 널리 알려졌다.

영화 발명에 필수적인 사진기와 필름은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 1757년 I.B.베커리는 은의 염화물을 이용한 감광막에 대한 광선의 작용을 발견했다. 1802년 웨지우드는 사진술의 기술과 정의를 확정했고, 1826년 조제프 니세포르 니엡스는 아스팔트 감광층에 영상을 고정하는 데 성공했다. 1870년대에는 긴 노출 시간이 필요 없는 렌즈와 젤라틴 감광체가 등장했고, 1882년 이스트먼은 젤라틴지 박리 필름을, 1885년에는 셀룰로이드 필름을 사용했다.

1895년 12월 28일, 뤼미에르 형제는 파리의 그랑 카페에서 시네마토그래프를 공개하고, 이듬해 3월 22일 《열차의 도착》을 시사하여 특허를 얻었다. 이를 영화의 탄생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1889년 에디슨키네토스코프를 비롯하여 미국의 바이타스코프와 판타스코프, 독일의 스클라다노프스키의 비오스코프, 영국의 윌리엄 폴의 애니마토그래프 등 여러 유사한 장치들이 고안되었지만, 뤼미에르 형제의 시네마토그래프가 기술적으로 가장 우수하고 흥행에도 성공하여 영화를 대표하게 되었다.

초창기 영화는 예술 형태보다는 저렴한 오락으로 여겨졌고, 주로 노동 계급에게 어필했다.[29] 초기 광고는 영화 자체보다 기술을 홍보했고, 뉴스릴과 실사 영화 형태로 사건을 포착하고 재현하는 데 주로 활용되었다.[30] 영화 제작자들은 미학적 가치를 활용하고, 구도와 이미지 구성에서 카메라 배치를 의도했다.[32] 케네스 맥고완은 뉴스릴을 위해 사건을 의도적으로 연출하고 재현한 것이 "이야기하기를 스크린으로 가져왔다"라고 주장했다.[31]

실사 영화는 처음에는 아름다운 장소나 공연 장면을 담은 "일련의 장면"으로 시작되었다.[32] 뤼미에르 형제는 1895년 상영 성공 이후 전 세계에 촬영 기사를 보내 새로운 소재를 담았고,[33] 영화 제작자들은 예측 불가능한 특성을 수용하기 위해 여러 카메라 기술을 발견하고 실험했다.[34] 1895년 5월 20일, 우드빌 레이텀은 에이돌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촬영한 권투 경기를 가장한 연출된 실사 영화를 상영했고, 유진 오거스틴 라우스트와 윌리엄 케네디 딕슨은 레이텀 루프를 만들었다.[35] 1897년, ''코베트-피츠시몬스 경기''는 실황 입장권 수입보다 더 많은 수입을 올린 당시 가장 긴 영화였다.[36] 1910년부터 정기적인 뉴스릴이 상영되었고, 서프러제트 시위도 촬영되었다.[37] F. 퍼시 스미스는 1910년 다큐멘터리에서 시간 경과 및 마이크로 영화 촬영술 사용을 개척했다.[37][38]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마레, 미국의 마이 브리지, 독일의 앤슈츠 등은 사진 기술을 현실의 운동 기록과 재현에 응용하려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1893년 토머스 에디슨키네토스코프를 공개했고, 뤼미에르 형제시네마토그래프 뤼미에르를 개발하여 1895년 3월 파리에서 공개했다. 같은 해 12월 28일 파리의 그랑 카페에서 유료 시사회를 열었다.

뤼미에르 형제 등이 공개한 세계 최초의 영화는 증기 기관차가 들어오는 장면을 원 테이크로 찍은 『라 시오타 역으로의 열차 도착』, 공장에서 일을 마친 직원들이 나오는 모습을 담은 『공장에서의 출구』 등이다. 처음 영화를 본 관객은 "열차의 도착"을 보고 화면에서 다가오는 열차를 무서워하여 관람석에서 뛰쳐나왔다는 일화도 있다. 이후 줄거리를 포함한 연출 작품이 만들어졌는데, 『물을 뿌린 정원사』는 정원사와 소년의 이야기를 담아 코미디 영화의 시초 중 하나가 되었다.

초기 영화는 무성 영화였으며, 1920년대 말 토키 영화가 등장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시네마토그래프의 투영기는 요란한 소음을 냈고, 이를 흐리게 하기 위해 피아노나 발로 밟는 오르간 연주와 함께 상영하는 형식이 보급되었다.[136]

1895년, 메리 여왕의 처형은 세계 최초의 호러 영화로 꼽히며, 트릭 촬영이 행해진 작품이다. 일본 최초의 영화는 1896년 11월 고베에서 공개되었고,[137][138] 1897년에는 교토시에서 시네마토그래프에 의한 상영회 기록이 있다.[139][140] 초기 영화는 일본에서 "활동 사진"으로 불렸고, 활동 변사가 해설을 하는 상영 수법이 있었다. 일본 최초의 "활동 사진" 제작은 1899년 아사노 시로 등에 의해 이루어졌고, 같은 해 권총 강도 체포를 요코야마 운페이 주연으로 촬영한 극 영화가 공개되었다.

1898년, 세계 최초의 크리스마스 영화 『』가 발표되어 다중 노출 등의 기법이 사용되었다.

1902년 세계 최초로 이야기 구성을 갖춘 영화 《달세계 여행》이 조르주 멜리에스에 의해 제작되어 SF 영화이자 VFX 영화의 시초가 되었다. 1903년 에드윈 포터 감독의 《대열차 강도》는 세계 최초의 서부극이며, 교차 편집이 처음 사용되었다. 1906년 제임스 스튜어트 블랙턴/J. Stuart Blackton영어 감독의 《유쾌한 백면상/Humorous Phases of Funny Faces영어》은 세계 최초의 애니메이션 영화로 여겨진다.

2. 3. 한국 영화의 시작

3. 무성 영화 시대 (1910년대 ~ 1920년대)

프랑스의 '필름 다르(film d'art)'는 기즈공의 암살사건을 필두로 프랑스, 위고, 로스탕 등의 작품을 영화화했다. 베르나르 등 유명 배우와 레지나 파테 같은 무용가들이 참여했다. 이 운동은 영화에 풍부한 스토리를 도입하고 본격적인 연기자를 출연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영화를 무대의 종속물처럼 만들었다는 비판도 받았다.

무성 영화 중기(1910년대 중반 ~ 1920년대 후반)에는 세계 각국의 영화가 크게 발전했다. 이탈리아는 《폼페이 최후의 날》, 《쿼바디스》, 《카비리아》 등의 사극 영화를 통해 스펙터클 영화라는 새로운 분야를 확립했다. 북유럽에서는 스웨덴의 《생련사련(生戀死戀)》, 《영혼 불멸》 등 신비주의적 드라마가 제작되었고, 독일에서는 《이기주의자》 등으로 대표되는 표현주의 영화가 주목을 받았다. 프랑스에서는 아벨 강스의 《철로의 백장미》와 같이 영상미를 강조한 작품이 등장했다.

조르주 멜리에스(왼쪽)가 자신의 스튜디오에서 배경을 그리고 있다.


시네마토그래프 상영 이후, 프랑스에서는 스타 영화사, 파테 프레르, 고몽 영화사 등이 설립되었다.[39] 멜리에스는 특수효과를 발견하고 구현한 인물로, 스타 영화사를 설립하여 500편이 넘는 단편 영화를 제작했다.[40][41] 그는 《달세계 여행》으로 최초의 SF 영화를 만들었다.[75]

샤를 파테는 파테-프레르 브랜드로, 레옹 고몽은 고몽 영화사를 설립하여 영화 제작을 시작했다.[46][48] 앨리스 가이는 고몽 영화사에서 업계 최초의 여성 감독으로 활동하며 1906년에는 300명의 엑스트라가 동원된 ''그리스도의 생애''를 만들었다.

오스카 메스터


독일의 오스카 메스터는 메스터 필름을 통해 영화 초창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프로젝터에 제네바 드라이브를 추가하고, 독일 최초의 영화 스튜디오를 설립했다.

영국의 세실 헵워스와 로버트 W. 폴은 다양한 카메라 기술을 실험했다. 폴은 역방향 크랭킹이 가능한 카메라를 최초로 개발했고,[50] 두 사람은 카메라 속도를 조절하여 새로운 효과를 만들었다.[50][51]

로버트 W. 폴의 영화 ''스크루지, 또는 말리의 유령''에서 인터타이틀이 처음 사용되었다.[53]

영국에서는 브라이턴 스쿨의 조지 앨버트 스미스와 제임스 윌리엄슨 등이 주목할 만한 활동을 했다.[31] 스미스는 다중 노출과 역동작 기술을 사용했고,[54][56] 클로즈업을 실험했다.[31]

망원경 시점 시뮬레이션: 원형 마스크를 사용하여 ''망원경으로 본(As Seen Through a Telescope)'' (1900)의 처음 두 샷


스미스는 ''터널 속의 키스''를 만들어 편집된 샷으로 사건의 인과 관계를 설정했고,[58][59][60] ''할머니의 독서 안경''과 ''메리 제인의 불운'' 등에 삽입 샷을 사용했다.[31] 1900년에는 ''망원경으로 본''을 만들었다.[61]

윌리엄슨은 ''중국 선교 기지 습격''에서 내러티브 구성 기술을 완성했고,[62] 영화 역사상 최초의 "역각" 컷을 사용했다.[63] ''도둑 잡아라!''는 "추격 영화" 장르를 탄생시켰다.[67]

미국의 포터는 에디슨 컴퍼니에서 영화 제작을 시작하여[40] ''미국 소방관의 생애''와 ''대열차 강도''를 만들었다.[40] ''대열차 강도''는 서부극 장르의 효시로 여겨지며,[40] 영화를 대중적인 인기로 이끄는 데 큰 역할을 했다.[39][72]

존 P. 해리스는 니켈로디언을 열었고,[74] 에디슨은 영화 특허 회사(MPPC)를 설립했다.[75]

이탈리아의 서사 영화 ''카비리아''


이탈리아에서는 토리노가 영화 제작 중심지였고,[76] 암브로시오와 시네스가 경쟁했다.[76] 조반니 파스트로네의 ''트로이의 몰락 (트로이의 몰락)'', ''쿼바디스?'', ''카비리아''는 세계적으로 큰 인상을 남겼다.[77]

덴마크의 노르디스크는 올레 올센에 의해 설립되었고,[77] 아스타 닐센이 출연한 아프그룬덴 (심연)은 큰 영향을 주었다.[77]

스웨덴에서는 찰스 마그누슨이 스벤스카비오그라프테아테른에서 영화 제작을 시작했으며,[77] 빅토르 셰스트룀과 모리츠 스틸러를 감독으로 고용했다.[77]

러시아에서는 알렉산드르 드란코프와 알렉산드르 칸존코프가 영화 회사를 설립했다.[77]

독일에서는 오스카 메스터가 영화 제작에 참여했고,[77] 파울 데이비슨이 PAGU를 설립했다.[77]

찰리 채플린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전에는 프랑스 영화와 이탈리아 영화가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았지만, 전쟁으로 인해 유럽 영화 산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

데이비드 워크 그리피스는 1915년 영화 ''국가의 탄생''으로 명성을 얻었다. 1920년대에는 사운드 도입과 스튜디오 시스템 구축이라는 큰 변화가 있었다. 1927년 ''재즈 싱어'' 개봉으로 영화 산업에 사운드가 도입되었다.



독일 영화는 독일 표현주의 영화 운동 시대를 맞이했다. 베를린은 바벨스베르크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이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91][87]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1920), ''노스페라투''(1922), ''M''(1931) 등은 국제적인 영향을 미쳤다.[92]

''메트로폴리스''(1927)와 ''달의 여인''(1929)은 SF 영화 장르를 창조했고,[93] 로테 라이니거는 아흐메드 왕자의 모험으로 애니메이션 분야의 선구자가 되었다.

나치 집권 후 많은 독일 영화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했고,[94] 할리우드는 세계 영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1920년대 미국은 연평균 800편의 장편 영화를 제작하며 세계 영화 제작량의 82%를 차지했다.[95] 찰리 채플린과 버스터 키턴의 코미디, 더글러스 페어뱅스의 쾌검극, 클라라 보우의 로맨스 영화 등이 인기를 얻었다.

스튜디오 시스템과 스타 시스템이 성장했으며, 에리히 폰 스트로하임 감독의 경력은 억제되었다.

1924년 새뮤얼 골드윈, 루이스 B. 메이어 등이 MGM을 설립했다.[75]

사일런트 후기, 프랑스에서는 루이 델뤼크, 제르메느 뒬라크, 르누아르, 장 에프스탕, 페데, 클레르 등이 명작을 발표했다. 카알 드레이에르의 《심판받는 잔》, 클레르의 《이탈리아제 맥고 모자》, 페데의 《눈사태》와 《님의 모습》, 에프스탕의 《아서 가(家)의 후예》 등이 대표적이다. 독일에서는 G.W.팝스트의 《마음의 신비(神秘)》, 《판도라의 상자》, 랑의 《니벨룽겐 이야기》, 《메트로폴리스》, 무르나우의 《최후의 사람》 등이 나왔다.

미국에서는 그리피스가 《국가의 탄생》과 《인톨러런스》로, 데밀은 《어리석은 자의 낙원》, 《십계(十戒)》, 《왕중왕(王中王)》 등으로 이름을 남겼다. 슈트로하임과 루비치는 할리우드 영화에 새로운 감각을 불어넣었다.

채플린, 키튼, 로이드 등 희극 배우들이 등장하여 MGM, 파라마운트 픽처스, 유나이티드 아티스츠의 지원을 받았다. 채플린은 《시티 라이트》, 《모던 타임즈》로 인기를 유지했고, 키튼은 《제네럴》 이후 몰락했다. 둘은 《라임라이트》에서 만났다.

무성 영화 말기 미국 영화는 제1차 대전으로 유럽 영화계가 주춤한 사이 시장을 확대했다. 발렌티노, 페어뱅크스, 기시, 스완슨 등 스타들이 탄생했고, 서부극이 독자적인 장르로 자리 잡았다. 할리우드는 유럽 각지에서 배우와 감독을 영입했다.

=== 소련의 몽타주 이론 ===

소련에서 발전된 소비에트 몽타주 이론(Soviet montage theory)은 영화의 예술성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1917년 혁명 이후 영화는 국영화되었고, 예이젠시테인의 《스트라이크》를 통해 러시아 영화는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전함 포템킨》, 푸돕킨의 《어머니》, 예이젠시테인의 《10월》, 푸돕킨의 《성 페테르부르크의 최후》 등은 혁명과 대중을 주제로 몽타주 기법을 통해 영화의 창조적 표현을 실험하고 이론적으로 추구하여 '몽타주 이론'을 확립했다.

몽타주 이론은 영화예술의 특수성이 영화의 편집에 있다고 보았다. 예이젠시테인은 몽타주를 메트릭, 리드믹, 토널, 오버톤, 지적(知的) 몽타주 등으로 요약하여 영화 속에 몽타주적인 변증법적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동양 문자의 상형성에서 몽타주의 원리를 찾기도 했다. 몽타주 이론은 그리피스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영화 이론으로 발전했으며, 무성영화 시대의 대표적인 미학을 이루었다.

=== 아방가르드 영화 ===

소비에트 몽타주 이론과 더불어 영화의 예술성을 높이는데 큰 영향을 끼친 또 다른 운동으로 아방가르드 영화를 들 수 있다. 1917년 혁명 이후 소련에서 영화는 국영화되었고, 예이젠시테인의 《스트라이크》,《전함 포템킨》, 푸돕킨의 《어머니》 등의 영화가 제작되며 본격적인 개화기를 맞았다. 이들은 몽타주 이론을 통해 영화의 창조적인 표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실험하고, 이론적으로 추구하여 '몽타주 이론'을 확립했다. 특히 예이젠시테인은 몽타주를 메트릭, 리드믹, 토널, 오버톤, 지적 몽타주 등으로 요약하여 몽타주적인 변증법적 이론을 내세웠고, 동양 문자의 상형성에서 몽타주의 원리를 찾기도 했다.

사일런트 말기에는 몽타주 표현을 통해 기존 영화의 틀을 벗어나려는 자유롭고 실험적인 작품들이 등장하여 '아방가르드 영화'(전위영화)라는 하나의 장르를 형성했다. 영화의 상업성에 가려져 있던 영화 본연의 미학을 찾고자 순수영화, 절대영화, 인상주의, 입체주의, 초현실주의 등을 내걸고 인간의 내면세계를 그려내는 실험적인 작업에 몰두했다.

아방가르드 영화 운동은 1913년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1916년 '미래파 영화선언' 발표로 이어졌고, 1920년대 프랑스와 독일에서 결실을 맺었다. 독일의 발터루트만(《대도회교향악》) 등은 기계적인 몽타주를 통해 시각음악적인 표현을 추구한 반면, 프랑스에서는 조형 감각에서 사상적인 것을 표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부뉴엘의 《안달루시아의 개》, 《황금시대》, 제르메느 뒬라크의 《조개껍데기와 수도사》, 비고의 《품행영점》, 콕토의 《시인의 피》, 만 레이의 《인산인해》 등이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루이 델뤼크, 제르메느 뒤락, 장 에프스탕, 클레르, 리히터, 비킹 에겔링, 아벨 강스 등도 유럽 아방가르드 영화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그러나 전위영화는 지나치게 예술지상주의적이거나 관념적, 형식주의적으로 치우쳐 대중으로부터 멀어졌고, 토키 시대의 도래와 함께 그 유행은 막을 내렸다.

3. 1. 주요 국가별 발전

프랑스의 '필름 다르(film d'art)'는 기즈공의 암살사건을 필두로 프랑스, 위고, 로스탕 등의 작품을 스크린에 옮겼다. 베르나르 등 무대인과 레지나 파테 같은 무용가들이 참여했다. 영화에 풍부한 스토리를 도입하고 본격적인 연기자를 출연하게 하는 공로가 있었으나, 영화를 무대의 종속물처럼 만들었다는 비판도 받았다.

무성 영화 중기(1910년대 중반 ~ 1920년대 후반)에는 세계 각국의 영화가 발전했다. 이탈리아는 《폼페이 최후의 날》, 《쿼바디스》, 《카비리아》 등의 사극영화로 스펙터클 영화 분야를 확립했다. 북유럽에서는 스웨덴의 《생련사련(生戀死戀)》, 《영혼 불멸》 등 신비주의적 드라마가 나왔고, 독일에서는 《이기주의자》 등으로 대표되는 표현주의 영화가 주목받았다. 프랑스는 아벨 강스의 《철로의 백장미》와 같이 영상미를 살린 작품이 나왔다.

시네마토그래프의 성공적인 전시 이후, 프랑스에서는 스타 영화사(Star Film Company), 파테 프레르(Pathé Frères), 고몽 영화사(Gaumont Film Company)와 같은 새로운 회사들이 설립되었다.[39] 서사 영화 제작의 시조로 불리는 조르주 멜리에스(Georges Méliès)는 스톱 트릭, 다중 노출, 디졸브 등 다양한 특수 효과를 발견하고 구현했다.[40] 1896년 말 스타 영화사(Star Film Company)를 설립하여 500편이 넘는 단편 영화를 제작, 연출, 배급했다.[41] ''악마의 집''과 ''신데렐라''와 같은 복잡한 이야기를 개발했고,[42][43] 1902년 영화 ''달세계 여행 ("Le Voyage Dans La Lune")''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최초의 SF 영화를 만들었다.[75]

1900년, 샤를 파테(Charles Pathé)는 파테-프레르(Pathé-Frères) 브랜드로 영화 제작을 시작했고,[46] 페르디낭 제카(Ferdinand Zecca)가 창작 과정을 이끌었다.[46] 고몽 영화사(Gaumont Film Company)는 파테-프레르의 주요 지역 경쟁사였다.[48] 1895년 레옹 고몽(Léon Gaumont)에 의해 설립되었고,[48] 업계 최초의 여성 감독인 앨리스 가이(Alice Guy)의 지휘하에 1897년에 영화 제작을 시작했다.[48] 1906년, 그녀는 당시 큰 예산으로 제작된 ''그리스도의 생애''를 만들었는데, 여기에는 300명의 엑스트라가 포함되었다.

독일의 발명가이자 영화 재벌인 오스카 메스터(Oskar Messter)는 메스터 필름(Messter Film)을 통해 영화 초창기에 중요한 인물이었다. 그는 프로젝터에 제네바 드라이브(Geneva drive)를 추가하고, 1900년 독일 최초의 영화 스튜디오를 설립했다.

세실 헵워스(Cecil Hepworth)와 로버트 W. 폴(Robert W. Paul)은 다양한 카메라 기술 사용을 실험했다. 폴의 1895년 '시네마토그래프 카메라 No. 1'은 역방향 크랭킹을 특징으로 하는 최초의 카메라였다.[50] 두 영화 제작자는 새로운 효과를 만들기 위해 카메라 속도를 실험했다.[50][51]

단일 샷에서 연속적인 장면으로 이동하는 최초의 영화는 20세기 초에 시작되었다.[52] 1901년에 개봉된 영국 영화 ''중국 선교 기지 습격(Attack on a China Mission)''은 여러 장면에서 액션의 연속성을 보여주는 최초의 영화 중 하나였다.[31] 인터타이틀의 사용은 로버트 W. 폴의 영화, ''스크루지, 또는 말리의 유령''에서 처음 사용되었다.[53]

영국에서 "브라이턴 스쿨 (영화 제작)"(Brighton School)이라고 통칭되는 영화 개척자 그룹은 조지 앨버트 스미스 (영화 제작자)(George Albert Smith)와 제임스 윌리엄슨 (영화 개척자)(James Williamson) 등이 포함되었다.[31] 스미스는 1898년 영화 ''유령 사진 찍기(Photographing a Ghost)''에서 다중 노출을 사용했고,[54] ''코르시카 형제(The Corsican Brothers)''에서 유령을 투명하게 묘사했다.[55] 스미스는 역동작 기술을 시작했고,[56] 1900년 9월 이전에 제작된 스미스의 ''잭이 지은 집 (1900년 영화)''(The House That Jack Built)에서 이 기술의 가장 초창기 생존 예를 볼수 있다. 세실 헵워스는 "투사 프린터"를 제작하여 광학 프린터가 되었다.[57] 1898년 조지 앨버트 스미스는 클로즈업을 실험했다.[31]

스미스는 터널 속의 키스(The Kiss in the Tunnel)''를 만들었는데,[58][59]편집된 별도의 샷은 뚜렷한 일련의 이벤트를 형성하고 한 샷에서 다음 샷으로의 인과 관계를 설정했다.[60] ''할머니의 독서 안경(Grandma's Reading Glass)'' 및 ''메리 제인의 불운(Mary Jane's Mishap)''과 같은 영화에 삽입물을 사용하기 시작했다.[31] 1900년 스미스는 ''망원경으로 본(As Seen Through a Telescope)''을 만들었다.[61]

제임스 윌리엄슨은 1900년 영화 ''중국 선교 기지 습격(Attack on a China Mission)''에서 내러티브 구성 기술을 완성했다.[62] 이 영화는 영화 역사상 최초의 "역각" 컷을 사용했다.[63] 이듬해 윌리엄슨은 ''큰 삼킴(The Big Swallow)''을 제작했다.[64] 제임스 윌리엄슨이 1901년 영화 ''도둑 잡아라!''(Stop Thief!)''에서 연속적인 액션을 사용한 것은 "추격 영화"로 알려진 영화 장르를 자극했다.[67]

1895년에 에디슨 컴퍼니가 키네토스코프로 보기 위해 제작한 ''메리 여왕의 처형''은 스톱 트릭으로 알려진 효과가 사용되었다.[68][69] 미국 영화 제작자 에드윈 S. 포터는 1901년 에디슨 컴퍼니에서 영화 제작을 시작했다.[40] 1902년, 포터는 ''미국 소방관의 생애''를 촬영했고 이듬해에 이 영화를 배급했다.[40] 포터의 영화 ''대열차 강도''(1903)는 서부극 장르의 효시로 여겨지며,[40] 영화 매체를 대중적인 인기로 이끄는 수단 중 하나가 되었다.[39][72] 같은 해에 마일스 형제는 미국 최초의 필름 교환소를 열었다.[73]

존 P. 해리스는 1905년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 니켈로디언을 열었다.[74] 1908년까지 전국에 약 8,000개의 니켈로디언 극장이 있었다.[74]

1908년, 토마스 에디슨은 영화 특허 회사(MPPC)를 설립했다.[75] 1915년까지 MPPC는 영화 산업에 대한 통제력을 대부분 상실했다.[75]

토리노가 최초의 주요 영화 제작 중심지였고,[76] 암브로시오가 1905년에 이 분야의 첫 회사였으며,[76] 시네스와 경쟁했다.[76] 이탈리아 영화 산업의 가장 큰 강점은 역사적인 서사 영화였다. 1911년, 조반니 파스트로네의 ''트로이의 몰락 (트로이의 몰락)''은 전 세계적으로 큰 인상을 남겼고,[77] ''쿼바디스?''(1912년)와 파스트로네의 1914년작 ''카비리아''가 뒤따랐다.[77] 이탈리아 회사들은 슬랩스틱 코미디 분야에서도 강세를 보였다.

제1차 세계 대전까지 북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영화 제작 국가는 덴마크였다.[77][78] 노르디스크는 1906년, 올레 올센에 의해 설립되었고,[77] 1910년에는 더 작은 덴마크 회사들이 이 사업에 참여하기 시작했다.[77] 아스타 닐센이 출연한 아프그룬덴 (심연)은 큰 설득력으로 전달했고, 다른 덴마크 영화 제작자들을 이 방향으로 더 밀어붙였다.[77] 1912년에는 덴마크 영화사들이 빠르게 증가했다.[77]

스웨덴 영화 산업은 덴마크 산업보다 규모가 작았고 시작이 늦었다. 찰스 마그누슨은 스벤스카비오그라프테아테른에서 1909년에 픽션 영화 제작을 시작했으며,[77] 1912년에는 빅토르 셰스트룀과 모리츠 스틸러를 감독으로 고용하면서 제작이 증가했다.[77]

러시아는 1908년 영화 산업을 시작했고,[77] 알렉산드르 드란코프와 알렉산드르 칸존코프에 의해 실제 러시아 영화 회사가 설립되었다. 칸존코프 회사는 1918년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77]

독일에서 오스카 메스터는 1896년부터 영화 제작에 참여했다.[77] 파울 데이비슨이 1911년에 아스타 닐센과 우르반 가드를 덴마크에서 데려와 프로젝티온스-AG "유니온"(PAGU)을 설립했다.[77] 메스터는 헤니 포르텐이 출연한 일련의 장편 영화로 대응했다.[77]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에 성장한 또 다른 독일 영화 제작자는 도이체 에클레르였다.[77] 그러나 전체적으로 독일 제작자들은 1914년 독일 시장에서 작은 부분을 차지했을 뿐이다.

1910년경부터 미국의 영화가 프랑스를 제외한 모든 유럽 국가에서 가장 큰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다. 파테 프레르는 미국 영화 사업을 확장하고 크게 형성했으며, 영화 산업에서 여러 "최초"를 창출했다.[79]

[[파일:Charlie_Chaplin_with_doll.jpg|thumb|left|찰리 채플린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 프랑스 영화와 이탈리아 영화는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가 많았다. 하지만 전쟁은 유럽 영화 산업에 치명적인 방해로 다가왔다.

20세기 초, 스크린 예술가들은 데이비드 워크 그리피스를 포함한 새로운 스타 군단의 등장을 가능하게 했다. 그리피스는 1915년 영화 ''국가의 탄생''으로 명성을 얻었다. 1920년에는 영화 산업에 두 가지 큰 변화가 있었다. 바로 사운드의 도입과 스튜디오 시스템의 구축이었다. 1927년에는 ''재즈 싱어''가 개봉하면서 영화 산업에 사운드가 도입되었다.

당시 독일 영화는 독일 표현주의 영화 운동 시대를 맞이했다. 베를린은 바벨스베르크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이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91][87] 초창기 표현주의 영화는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1920), ''노스페라투''(1922), ''M''(1931)과 같은 영화들은 현재 영화 제작자, 게임 디자이너 및 예술가들의 작품에서 여전히 인식할 수 있는 국제적인 영향을 미쳤다.[92]

''메트로폴리스''(1927)와 ''달의 여인''(1929)과 같은 영화는 부분적으로 SF 영화 장르를 창조했고,[93] 로테 라이니거는 아흐메드 왕자의 모험과 같은 애니메이션 장편 영화를 제작하며 애니메이션 분야의 선구자가 되었다.

나치가 권력을 잡자 많은 독일 및 독일 기반의 감독, 배우, 작가 등이 미국으로 이주했고,[94] 미국 산업, 즉 캘리포니아의 새로운 지리적 중심지에서 이름을 따온 "할리우드"는 이후 거의 변함없이 세계 영화 공장으로서의 지위를 얻었고,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 자사 제품을 수출하게 되었다.

1920년대에 미국은 연평균 800편의 ''장편'' 영화를 제작하며(Eyman, 1997), 세계 총 영화 제작량의 82%를 차지하며 역대 최대의 생산량을 기록했다.[95] 찰리 채플린과 버스터 키턴의 코미디, 쾌검극 모험극 배우 더글러스 페어뱅스, 그리고 클라라 보우의 로맨스 등은 이들 배우들의 얼굴을 모든 대륙에 널리 알렸다.

스튜디오 시스템과 그 주요 홍보 방식인 스타 시스템의 성장과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1910년대 후반과 1920년대의 파격적인 에리히 폰 스트로하임 감독의 짧지만 전설적인 연출 경력은 억제되었다.

1924년 새뮤얼 골드윈(Sam Goldwyn), 루이스 B. 메이어(Louis B. Mayer)와 메트로 픽처스 코퍼레이션이 MGM을 설립했다.[75]

영화 포털
영화 프로젝트



각국의 영화사에 관해서는, 각국의 영화를 참조할 것.

사일런트 후기, 유럽과 미국에서 영화 예술이 본격적으로 탐구되어 뛰어난 작가들이 등장했다. 프랑스는 루이 델뤼크, 제르메느 뒬라크, 르누아르, 장 에프스탕, 페데, 클레르 등 많은 명작을 발표했다. 카알 드레이에르의 《심판받는 잔》은 클로즈업으로 인간 심리를 포착했고, 클레르는 《이탈리아제 맥고 모자》로 지적인 우화영화를 시도했으며, 페데는 《눈사태》와 《님의 모습》으로 비극적인 인간세계를 그렸고, 에프스탕은 《아서 가(家)의 후예》로 신비한 분위기를 빚어냈다. 독일에서는 G.W.팝스트의 《마음의 신비(神秘)》, 《판도라의 상자》와 랑의 《니벨룽겐 이야기》, 《메트로폴리스》, 헤리크 갈렌의 《프라하의 대학생》, 무르나우의 《최후의 사람》, 요에 마이의 《귀향(歸鄕)》 등이 나왔다.

미국에서는 그리피스가 《국가의 탄생》과 《인톨러런스》를 만들어 영화사상 불멸의 이름을 남겼다. 《국가의 탄생》은 남북 전쟁을 배경으로 한 박진감 넘치는 스펙터클이었으며, 《인톨러런스》는 네 개의 에피소드를 엮은 20시간이 넘는 대작이었다. 클로즈업이나 몽타주 수법이 풍부하게 사용되면서 영화표현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나타냈다.

데밀은 《어리석은 자의 낙원》, 《십계(十戒)》, 《왕중왕(王中王)》 등 대작주의로 나아갔고, 유럽에서 건너온 슈트로하임과 루비치가 할리우드 영화에 감각적인 풍요함을 가져왔다. 슈트로하임의 《어리석은 아내》, 《그리이드》, 루비치의 《결혼철학》, 《금단(禁斷)의 낙원》, 《명랑한 파리장》이 뛰어났다.

코미디계에서는 채플린을 시작으로 키튼, 로이드 같은 여러 희극배우들이 등장하였다. 이들은 로스코에 아버클의 도움을 받으면서 시작하였고 감독과 각본까지 맡았다. MGM, 파라마운트 픽처스, 유나이티드 아티스츠에서 이들을 도왔다. 채플린은 1931년 《시티 라이트》, 1936년 《모던 타임즈》로 꾸준히 인기를 유지하였다. 키튼은 1926년 《제네럴》을 시작으로 몰락하였다. 둘은 《라임라이트》에서 만났다.

무성 영화 말기의 미국 영화는 제1차 대전으로 유럽 영화계가 지친 틈을 타서 시장을 넓혀 나갔다. 발렌티노, 페어뱅크스, 기시, 스완슨 등 많은 스타들을 낳았고, 《포장마차》, 《철마(鐵馬)》 같은 서부극에서 독자적인 장르를 만들었다. 할리우드는 유럽 각지에서부터 배우·감독을 널리 모아들였다. 슈트로하임, 루비치를 비롯하여, 스턴버그, 모리츠 스틸러, 로타르 멘데스, 윌리엄 디털레, 무르나우 등 감독만도 유럽에서 모은 인재는 많고 다채롭다.

3. 2. 소련의 몽타주 이론

소련에서 발전된 소비에트 몽타주 이론(Soviet montage theory)은 영화가 예술성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1917년 혁명 이후 영화는 국영화되었으며, 1925년 예이젠시테인의 《스트라이크》를 통해 러시아 영화는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전함 포템킨》, 푸돕킨의 《어머니》, 그리고 1927년에는 예이젠시테인의 《10월》, 푸돕킨의 《성 페테르부르크의 최후》 등이 제작되었다. 이들 작품은 혁명과 대중을 주제로 하여, 몽타주 기법을 통해 영화의 창조적인 표현에 중요한 요소임을 실험하고 이론적으로 추구하여 '몽타주 이론'을 확립했다.

몽타주 이론은 영화예술의 특수성이 영화의 편집에 있다고 본다. 특히 예이젠시테인은 몽타주를 단순한 필름 편집이 아닌 메트릭, 리드믹, 토널, 오버톤, 지적(知的) 몽타주 등으로 요약하여 영화 속에 몽타주적인 변증법적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동양 문자의 상형성(象形性)에서 몽타주의 원리를 찾기도 했다. 몽타주 이론은 그리피스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영화 이론으로 발전했으며, 무성영화 시대의 대표적인 미학을 이루었다.

3. 3. 아방가르드 영화

소비에트 몽타주 이론(Soviet montage theory)의 확립과 더불어 영화의 예술성을 높이는데 큰 영향을 끼친 또 다른 운동으로 아방가르드 영화를 들 수 있다. 1917년 혁명 이후 소련에서 영화는 국영화되었고, 예이젠시테인의 《스트라이크》 (1925), 《전함 포템킨》 (1926), 푸돕킨의 《어머니》 (1926) 등의 영화가 제작되며 본격적인 개화기를 맞았다. 이들은 몽타주 이론을 통해 영화의 창조적인 표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실험하고, 이론적으로 추구하여 '몽타주 이론'을 확립했다. 특히 예이젠시테인은 몽타주를 단순한 편집 작업이 아닌 메트릭, 리드믹, 토널, 오버톤, 지적 몽타주 등으로 요약하여 영화 속에 몽타주적인 변증법적 이론을 내세웠고, 동양 문자의 상형성에서 몽타주의 원리를 찾기도 했다.

사일런트 말기에는 몽타주 표현을 통해 기존 영화의 틀을 벗어나려는 자유롭고 실험적인 작품들이 등장하여 '아방가르드 영화'(전위영화)라는 하나의 장르를 형성했다. 영화의 상업성에 가려져 있던 영화 본연의 미학을 찾고자 순수영화, 절대영화, 인상주의, 입체주의, 초현실주의 등을 내걸고 인간의 내면세계를 그려내는 실험적인 작업에 몰두했다.

아방가르드 영화 운동은 1913년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1916년 '미래파 영화선언(未來派映畵宣言)' 발표로 이어졌고, 1920년대 프랑스와 독일에서 결실을 맺었다. 독일의 발터루트만(《대도회교향악》) 등은 기계적인 몽타주를 통해 시각음악적인 표현을 추구한 반면, 프랑스에서는 조형 감각에서 사상적인 것을 표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부뉴엘의 《안달루시아의 개》, 《황금시대》, 제르메느 뒬라크의 《조개껍데기와 수도사》, 비고의 《품행영점》, 콕토의 《시인의 피》, 만 레이의 《인산인해》 등이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루이 델뤼크, 제르메느 뒤락, 장 에프스탕, 클레르, 리히터, 비킹 에겔링, 아벨 강스 등도 유럽 아방가르드 영화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그러나 전위영화는 지나치게 예술지상주의적이거나 관념적, 형식주의적으로 치우쳐 대중으로부터 멀어졌고, 토키 시대의 도래와 함께 그 유행은 막을 내렸다.

3. 4. 한국 무성 영화

4. 유성 영화 시대 (1920년대 후반 ~ 현재)

1926년 Vitaphone(디스크식 발성 영화기)의 발명으로 영화는 무성(無聲)에서 유성(有聲)영화 시대로 넘어가 시청각 종합매체로 발전했다.[75] 1927년 뉴욕에서 공개된 《재즈 싱어》는 토키의 첫 작품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96] 필름에 녹음된 소리가 화면과 완전히 일치하게 되면서 영화는 급속히 보급되었고, 수년 안에 세계적으로 본격적인 토키 시대에 들어갔다. 이는 단순한 기술 혁명을 넘어, 예술적, 기업적으로 새로운 체제를 요구했다. 마이크로폰은 카메라의 자유를 제약했고, 몽타주 방법도 수정이 불가피했다. 제작은 대규모화되어 영화 산업은 대자본을 도입하게 되었다. 가장 큰 변화는 대사를 자유롭게 말할 수 있게 되면서 영화 내용에 연극과 문학의 요소가 더해졌다는 점이다.

돈 주앙은 동기화된 악보와 음향 효과를 갖춘 비타폰 사운드-온-디스크 사운드 시스템을 사용한 최초의 장편 영화이지만 대화는 없다.


초기 사운드 온 디스크 방식은 사운드 온 필름 방식으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토키 영화"가 미래라는 것을 산업계에 확신시켰다. ''재즈 싱어''의 성공 이전에, 1914년 찰스 테이즈 러셀이 ''창조사진극''에서 처음으로 사진 슬라이드와 이야기와 음악의 축음기 레코드와 동기화된 움직이는 그림으로 구성된 영화를 선보였다. 그리고 1926년 워너 브라더스는 동기화된 음향 효과와 음악이 있는 영화 ''돈 주앙''을 공개했다.[75]

1929년 말까지 할리우드는 거의 모든 토키 영화로 바뀌었고, 여러 경쟁적인 사운드 시스템이 등장했다. 총 전환은 경제적인 이유로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는 더 느렸다. 중국 영화 및 일본 영화와 같은 국가에서는 문화적인 이유도 작용하여 1930년대까지 무성 영화가 사운드 영화와 공존했으며, 우용강의 ''여신''(중국, 1934)과 오즈 야스지로의 ''태어나긴 했지만...''(일본, 1932)와 같은 영화가 제작되었다. 그러나 일본에서도 벤시와 같은 인물은 연기 경력이 끝나가는 것을 발견했다.

사운드는 여러 국가에서 주요 스튜디오의 장악력을 강화시켰다. 전환에 따른 막대한 비용은 소규모 경쟁 업체를 압도했으며, 사운드의 참신함은 제작자에게 더 많은 관객을 유치했다. 미국의 경우, 일부 역사가들은 사운드가 대공황에 직면하여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을 구했다고 본다. 이로써 "할리우드의 황금기"가 시작되었는데, 이는 대략 사운드의 도입부터 1940년대 후반까지를 의미한다. 이 시대의 최고의 배우들은 현재 클라크 게이블, 캐서린 헵번, 험프리 보가트, 그레타 가르보와 1930년대 최고의 흥행 배우인 아역 배우 셜리 템플과 같은 고전 영화 스타로 여겨진다.

창의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급격한 전환은 어려웠고, 어떤 면에서는 영화가 초기 시대로 잠시 되돌아갔다. 1920년대 후반은 초기 사운드 장비의 제약과 새로운 매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고군분투하면서 정적이고 연극적인 토키 영화로 가득했다. 많은 무대 공연자, 감독 및 작가가 영화에 소개되었다. 많은 주요 무성 영화 제작자와 배우들은 적응할 수 없었고 경력이 단축되거나 끝나기도 했다.

1929년은 분수령이 되는 해였다. 윌리엄 A. 웰먼은 ''차이나타운 나이츠'' 와 ''내가 사랑하는 남자''로, 루벤 마물리안은 ''박수갈채''로, 알프레드 히치콕은 ''블랙메일'' (영국 최초의 사운드 장편)로 토키 영화에 더 큰 유동성을 부여하고 사운드의 표현적인 사용을 실험했다. 이 과정에서 마이크와 카메라의 기술적 발전, 편집 및 사운드 후시녹음 기능의 혜택을 받았다.

프랑스에서는 르네 클레르(《파리의 지붕밑》, 《자유를 우리에게》, 《최후의 억만장자》), 자크 페데(《외인부대》, 《미모자 관(館)》 《여자만의 도시》), 장 르누아르(《최하층 사회》 《커다란 환영(幻影)》), 쥘리앵 뒤비비에(《하얀 처녀지(處女地)》, 《우리들의 친구들》, 《무도회의 수첩》) 등 우수한 감독의 활약에 의해 또 다시 예술의 난숙기(煖塾期)를 맞이했다. 독일에서는 《싸구려 오페라》, 《회의(會議)는 춤춘다》, 《제복을 입은 처녀》, 《M》 등으로 《미완성교향악》, 《황온의 빈》을 만들어 낸 오스트리아와 함께 충실한 제작활동을 보였고, 영국에서는 앨프리드 히치콕 등의 극영화와 《유망어선(流網漁船)》, 《야간우편열차》, 《아란》 등 다큐멘터리 영화부문에 빛나는 발전을 기록했다. 한편, 미국에서는 스턴버그가 《모로코》를 발표했고, 마일스턴은 《서부 전선 이상 없다》를, 에른스트 루비치는 《러비 퍼레이드》를 만들어서 토키의 화려한 상업주의적 스타트를 장식했다. 연애영화·전쟁영화·뮤지컬은 서부극과 함께 할리우드 영화의 주요 장르가 되었다. 게다가 사회악을 파헤친 《굶주린 아메리카》,《암흑가의 탄흔(彈痕)》 등과 풍속희극 《어느날 밤에 생긴 일》 등이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를 특징지었다. 또 컬러 영화의 실용화와 함께 월트 디즈니의 만화영화가 널리 대중의 지지를 얻었다. 그러나 1939년의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할리우드 대작주의의 승리를 보다 웅변적으로 이야기해 준다.

사운드 영화는 흑인의 역사를 강조했으며, 무성 영화보다 다양한 장르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가장 분명한 것은 뮤지컬 영화가 탄생했다는 것이다. 최초의 고전적인 스타일의 할리우드 뮤지컬은 ''브로드웨이 멜로디'' (1929)였으며, 이 형태는 버스비 버클리(42번가'', 1933, ''데임스'', 1934)에서 첫 번째 주요 제작자를 찾았다. 프랑스에서는 아방가르드 감독 르네 클레르가 ''파리의 지붕 밑에서'' (1930)와 ''백만 달러'' (1931)와 같은 코미디에서 노래와 춤을 초현실주의적으로 사용했다. 유니버설 픽처스는 ''드라큘라''와 ''프랑켄슈타인'' (모두 1931)과 같은 고딕 호러 영화를 개봉하기 시작했다. 1933년, RKO 픽처스는 메리안 C. 쿠퍼의 ''킹콩''을 개봉했다. 이 트렌드는 인도 영화에서 가장 번성했는데, 뮤지컬이 대부분의 사운드 영화의 기본 형태가 되었다. 수십 년 동안 서구 세계에서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지만, 이 인도 대중 영화는 세계에서 가장 다작의 영화가 되었다. (''볼리우드 참조'')

thumb는 1937년 원본 ''백설공주'' 극장 예고편의 한 장면에서 일곱 난쟁이 각각을 소개한다.]]

이 시기에 ''리틀 시저'' 와 웰먼의 ''공공의 적'' (둘 다 1931)과 같은 미국의 갱스터 영화가 인기를 얻었다. 대화는 이제 할리우드 코미디에서 슬랩스틱보다 우선시되었다. 월트 디즈니는 1937년 RKO 픽처스에서 개봉한 최초의 영어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로 장편 영화에 발을 들였다. 1939년은 미국 영화의 주요 해였으며, ''오즈의 마법사'' 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와 같은 영화가 나왔다.

4. 1. 초기 유성 영화의 기술적, 예술적 변화

1926년 Vitaphone(디스크식 발성 영화기)의 발명으로 영화는 무성(無聲)에서 유성(有聲)영화 시대로 넘어가 시청각 종합매체로 발전했다.[75] 1927년 뉴욕에서 공개된 《재즈 싱어》는 토키의 첫 작품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96] 필름에 녹음된 소리가 화면과 완전히 일치하게 되면서 영화는 급속히 보급되었고, 수년 안에 세계적으로 본격적인 토키 시대에 들어갔다. 이는 단순한 기술 혁명을 넘어, 예술적, 기업적으로 새로운 체제를 요구했다. 마이크로폰은 카메라의 자유를 제약했고, 몽타주 방법도 수정이 불가피했다. 제작은 대규모화되어 영화 산업은 대자본을 도입하게 되었다. 가장 큰 변화는 대사를 자유롭게 말할 수 있게 되면서 영화 내용에 연극과 문학의 요소가 더해졌다는 점이다.

초기 사운드 온 디스크 방식은 사운드 온 필름 방식으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토키 영화"가 미래라는 것을 산업계에 확신시켰다. ''재즈 싱어''의 성공 이전에, 1914년 찰스 테이즈 러셀이 ''창조사진극''에서 처음으로 사진 슬라이드와 이야기와 음악의 축음기 레코드와 동기화된 움직이는 그림으로 구성된 영화를 선보였다. 그리고 1926년 워너 브라더스는 동기화된 음향 효과와 음악이 있는 영화 ''돈 주앙''을 공개했다.[75]

1929년 말까지 할리우드는 거의 모든 토키 영화로 바뀌었고, 여러 경쟁적인 사운드 시스템이 등장했다. 총 전환은 경제적인 이유로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는 더 느렸다. 중국 영화 및 일본 영화와 같은 국가에서는 문화적인 이유도 작용하여 1930년대까지 무성 영화가 사운드 영화와 공존했으며, 우용강의 ''여신''(중국, 1934)과 오즈 야스지로의 ''태어나긴 했지만...''(일본, 1932)와 같은 영화가 제작되었다. 그러나 일본에서도 벤시와 같은 인물은 연기 경력이 끝나가는 것을 발견했다.

사운드는 여러 국가에서 주요 스튜디오의 장악력을 강화시켰다. 전환에 따른 막대한 비용은 소규모 경쟁 업체를 압도했으며, 사운드의 참신함은 제작자에게 더 많은 관객을 유치했다. 미국의 경우, 일부 역사가들은 사운드가 대공황에 직면하여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을 구했다고 본다. 이로써 "할리우드의 황금기"가 시작되었는데, 이는 대략 사운드의 도입부터 1940년대 후반까지를 의미한다. 이 시대의 최고의 배우들은 현재 클라크 게이블, 캐서린 헵번, 험프리 보가트, 그레타 가르보와 1930년대 최고의 흥행 배우인 아역 배우 셜리 템플과 같은 고전 영화 스타로 여겨진다.

창의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급격한 전환은 어려웠고, 어떤 면에서는 영화가 초기 시대로 잠시 되돌아갔다. 1920년대 후반은 초기 사운드 장비의 제약과 새로운 매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고군분투하면서 정적이고 연극적인 토키 영화로 가득했다. 많은 무대 공연자, 감독 및 작가가 영화에 소개되었다. 많은 주요 무성 영화 제작자와 배우들은 적응할 수 없었고 경력이 단축되거나 끝나기도 했다.

1929년은 분수령이 되는 해였다. 윌리엄 A. 웰먼은 ''차이나타운 나이츠'' 와 ''내가 사랑하는 남자''로, 루벤 마물리안은 ''박수갈채''로, 알프레드 히치콕은 ''블랙메일'' (영국 최초의 사운드 장편)로 토키 영화에 더 큰 유동성을 부여하고 사운드의 표현적인 사용을 실험했다. 이 과정에서 마이크와 카메라의 기술적 발전, 편집 및 사운드 후시녹음 기능의 혜택을 받았다.

프랑스에서는 르네 클레르(《파리의 지붕밑》, 《자유를 우리에게》, 《최후의 억만장자》), 자크 페데(《외인부대》, 《미모자 관(館)》 《여자만의 도시》), 장 르누아르(《최하층 사회》 《커다란 환영(幻影)》), 쥘리앵 뒤비비에(《하얀 처녀지(處女地)》, 《우리들의 친구들》, 《무도회의 수첩》) 등 우수한 감독의 활약에 의해 또 다시 예술의 난숙기(煖塾期)를 맞이했다. 독일에서는 《싸구려 오페라》, 《회의(會議)는 춤춘다》, 《제복을 입은 처녀》, 《M》 등으로 《미완성교향악》, 《황온의 빈》을 만들어 낸 오스트리아와 함께 충실한 제작활동을 보였고, 영국에서는 앨프리드 히치콕 등의 극영화와 《유망어선(流網漁船)》, 《야간우편열차》, 《아란》 등 다큐멘터리 영화부문에 빛나는 발전을 기록했다. 한편, 미국에서는 스턴버그가 《모로코》를 발표했고, 마일스턴은 《서부 전선 이상 없다》를, 에른스트 루비치는 《러비 퍼레이드》를 만들어서 토키의 화려한 상업주의적 스타트를 장식했다. 연애영화·전쟁영화·뮤지컬은 서부극과 함께 할리우드 영화의 주요 장르가 되었다. 게다가 사회악을 파헤친 《굶주린 아메리카》,《암흑가의 탄흔(彈痕)》 등과 풍속희극 《어느날 밤에 생긴 일》 등이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를 특징지었다. 또 컬러 영화의 실용화와 함께 월트 디즈니의 만화영화가 널리 대중의 지지를 얻었다. 그러나 1939년의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할리우드 대작주의의 승리를 보다 웅변적으로 이야기해 준다.

사운드 영화는 흑인의 역사를 강조했으며, 무성 영화보다 다양한 장르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가장 분명한 것은 뮤지컬 영화가 탄생했다는 것이다. 최초의 고전적인 스타일의 할리우드 뮤지컬은 ''브로드웨이 멜로디'' (1929)였으며, 이 형태는 버스비 버클리(42번가'', 1933, ''데임스'', 1934)에서 첫 번째 주요 제작자를 찾았다. 프랑스에서는 아방가르드 감독 르네 클레르가 ''파리의 지붕 밑에서'' (1930)와 ''백만 달러'' (1931)와 같은 코미디에서 노래와 춤을 초현실주의적으로 사용했다. 유니버설 픽처스는 ''드라큘라''와 ''프랑켄슈타인'' (모두 1931)과 같은 고딕 호러 영화를 개봉하기 시작했다. 1933년, RKO 픽처스는 메리안 C. 쿠퍼의 ''킹콩''을 개봉했다. 이 트렌드는 인도 영화에서 가장 번성했는데, 뮤지컬이 대부분의 사운드 영화의 기본 형태가 되었다. 수십 년 동안 서구 세계에서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지만, 이 인도 대중 영화는 세계에서 가장 다작의 영화가 되었다. (''볼리우드 참조'')

thumb는 1937년 원본 ''백설공주'' 극장 예고편의 한 장면에서 일곱 난쟁이 각각을 소개한다.]]

이 시기에 ''리틀 시저'' 와 웰먼의 ''공공의 적'' (둘 다 1931)과 같은 미국의 갱스터 영화가 인기를 얻었다. 대화는 이제 할리우드 코미디에서 슬랩스틱보다 우선시되었다. 월트 디즈니는 1937년 RKO 픽처스에서 개봉한 최초의 영어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로 장편 영화에 발을 들였다. 1939년은 미국 영화의 주요 해였으며, ''오즈의 마법사'' 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와 같은 영화가 나왔다.

4. 2. 1930년대 ~ 1940년대 영화

1926년 Vitaphone(디스크식 발성 영화기)의 발명으로 영화는 무성(無聲)에서 유성(有聲)영화 시대로 넘어가 시청각 종합매체로 발전했다. 1927년 뉴욕에서 공개된 《재즈 싱어》는 토키의 제1작으로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다. 필름에 녹음된 소리는 화면과 완전히 일치하게 된 후부터 급속히 보급되어, 수년 동안에 영화는 세계적으로 본격적인 토키 시대에 들어갔다.

프랑스에서는 클레르(《파리의 지붕밑》, 《자유를 우리에게》, 《최후의 억만장자》), 페데(《외인부대》, 《미모자 관(館)》 《여자만의 도시》), 르누아르(《최하층 사회》 《커다란 환영(幻影)》), 뒤비비에(《하얀 처녀지(處女地)》, 《우리들의 친구들》, 《무도회의 수첩》) 등 우수한 감독의 활약에 의해 또 다시 예술의 난숙기(煖塾期)를 맞이했다. 독일에서는 《싸구려 오페라》, 《회의(會議)는 춤춘다》, 《제복을 입은 처녀》, 《M》 등으로 《미완성교향악》, 《황온의 빈》을 만들어 낸 오스트리아와 함께 충실한 제작활동을 보였다. 영국에서는 히치콕 등의 극영화와 《유망어선(流網漁船)》, 《야간우편열차》, 《아란》 등 다큐멘터리 영화부문에 빛나는 발전을 기록했다.

미국에서는 스턴버그가 《모로코》를 발표했고, 마일스턴은 《서부 전선 이상 없다》를, 루비치는 《러비 퍼레이드》를 만들어서 토키의 화려한 상업주의적 스타트를 장식했다. 연애영화·전쟁영화·뮤지컬은 서부극과 함께 그로부터 당분간 할리우드 영화의 주요 장르가 되었다. 게다가 사회악을 파헤친 《굶주린 아메리카》, 《암흑가의 탄흔(彈痕)》 등과 풍속희극 《어느날 밤에 생긴 일》 등이 1930년대 할리우드 영화를 특징지었다. 디즈니의 만화영화가 널리 대중의 지지를 얻었으며, 1939년의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할리우드 대작주의의 승리를 보여준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1939년)


유럽에서는 나치즘의 대두로 유대인 작가는 독일에서 쫓겨났고, 이탈리아도 파시즘에 의해 예술은 국가주의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 접어들자 자유로운 영화제작은 더욱더 곤란하게 되고, 많은 작가들이 국외로 떠나가 영화는 거의 휴식상태에 빠졌다. 미국만은 여전히 활발한 제작을 계속했으나, 포드의 서부극(《역마차》), 와일러의 비극(《공작부인》, 《흑란(黑蘭)의 여자》), 케플러의 사회극(《오페라하트》, 《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등과 같은 개성적인 작가의 장르는 점차 상실되었다.

전쟁에 반대하는 선전을 위한 열망은 영국 영화 산업에 르네상스를 가져왔다. ''49번째 패럴렐(49th Parallel)'' (1941), ''웬트 더 데이 웰?(Went the Day Well?)'' (1942), ''더 웨이 어헤드(The Way Ahead)'' (1944) 와 노엘 코워드(Noël Coward) 와 데이비드 린(David Lean)의 ''우리가 복무하는 방법(In Which We Serve)'' (1942)이 그 예시이며, ''우리가 복무하는 방법''은 특별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 마이클 파월(Michael Powell) 과 에메릭 프레스버거(Emeric Pressburger)의 ''블림프 대령의 삶과 죽음(The Life and Death of Colonel Blimp)'' (1943), ''캔터베리 이야기(A Canterbury Tale)'' (1944) 및 ''삶과 죽음의 문제(A Matter of Life and Death)'' (1946), 그리고 로렌스 올리비에(Laurence Olivier)의 1944년 영화 ''헨리 5세(Henry V)''는 셰익스피어 연대기인 ''헨리 5세(Henry V)''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의 성공으로 디즈니는 ''피노키오(Pinocchio)'' (1940), ''환타지아(Fantasia)'' (1940), ''덤보(Dumbo)'' (1941) 및 ''밤비(Bambi)'' (1942)와 같은 더 많은 장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었다.

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은 애국심과 선전 영화의 급증을 가져왔다. ''절박한 여정(Desperate Journey)'' (1942), ''미세스 미니버(Mrs. Miniver)'' (1942), ''영원한 날들(Forever and a Day)'' (1943) 및 ''버마를 향하여(Objective, Burma!)'' (1945)가 미국의 선전 영화에 포함되었다. ''라인 강에서 바라보라(Watch on the Rhine)'' (1943, 대시엘 해밋(Dashiell Hammett)의 각본), 히치콕(Hitchcock)이 손턴 와일더(Thornton Wilder)의 각본으로 연출한 ''의혹의 그림자(Shadow of a Doubt)'' (1943), 조지 M. 코한(George M. Cohan)의 전기 영화 ''양키 두들 댄디(Yankee Doodle Dandy)'' (1942, 제임스 캐그니(James Cagney) 주연), 그리고 ''카사블랑카(Casablanca)'' (험프리 보가트(Humphrey Bogart) 주연) 등이 전쟁 기간의 주목할 만한 미국 영화이다.

카사블랑카 (1942년)


보가트는 1934년부터 1942년까지 36편의 영화에 출연했으며, 존 휴스턴(John Huston)의 ''말타의 매(The Maltese Falcon)'' (1941)가 포함되었는데, 이 영화는 현재 고전 필름 누아르로 간주되는 최초의 영화 중 하나이다. 1941년, RKO 픽처스(RKO Pictures)는 오손 웰스(Orson Welles)가 제작한 ''시민 케인(Citizen Kane)''을 개봉했다.

전시의 제약은 더 환상적인 주제에 대한 관심을 가져왔다. 영국의 게인즈버러 픽처스(Gainsborough) 멜로드라마 (''그레이의 남자(The Man in Grey)'' 와 ''사악한 숙녀(The Wicked Lady)'' 포함)와 ''조던 씨가 온다(Here Comes Mr. Jordan)'', ''천국은 기다려(Heaven Can Wait)'', ''나는 마녀와 결혼했다'', ''쾌활한 영혼(Blithe Spirit)''과 같은 영화가 포함되었다. 발 루턴(Val Lewton)은 ''캣 피플(Cat People)'', ''죽음의 섬(Isle of the Dead)'' 그리고 ''인육 사냥꾼(The Body Snatcher)'' 등과 같은 영향력 있는 저예산 공포 영화들을 제작했다. 이 시기는 ''여성 영화(women's pictures)''라고 불리는 ''지금, 보이저(Now, Voyager)'', ''무작위 수확(Random Harvest)'' 그리고 ''밀드레드 피어스(Mildred Pierce)''가 가장 인기를 누렸던 시기이기도 하다.

1946년에는 RKO 라디오가 이탈리아 출신 영화 제작자 프랭크 카프라(Frank Capra)가 감독한 ''멋진 인생(It's a Wonderful Life)''을 개봉했다. 전쟁에서 돌아온 군인들은 ''우리 생애 최고의 해(The Best Years of Our Lives)''와 같은 영화에 영감을 주었고, 영화 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들이 전쟁 중에 어떤 형태로든 복무했다. 새뮤얼 풀러(Samuel Fuller)의 제2차 세계 대전 경험은 이후 수십 년 동안 그의 자전적 영화에 영향을 미쳤다. 액터스 스튜디오(The Actors Studio)는 1947년 10월 엘리아 카잔(Elia Kazan), 로버트 루이스(Robert Lewis), 체릴 크로포드(Cheryl Crawford)에 의해 설립되었고, 같은 해 오스카 피싱어(Oskar Fischinger)는 ''모션 페인팅 1번(Motion Painting No. 1)''을 촬영했다.

1943년에는 이탈리아에서 ''강박관념(Ossessione)''이 상영되었고, 이는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의 시작을 알렸다. 1940년대 이 유형의 주요 영화로는 ''자전거 도둑(Bicycle Thieves)'', ''로마, 무방비 도시(Rome, Open City)'' 및 ''대지는 흔들린다(La Terra Trema)''가 있다. 1952년에는 ''움베르토 D(Umberto D)''가 개봉되었는데, 보통 이 유형의 마지막 영화로 간주된다.



1940년대 후반, 영국에서 이링 스튜디오(Ealing Studios)는 ''위스키 아가씨!(Whisky Galore!)'', ''핌리코로 가는 여권(Passport to Pimlico)'', ''친절한 마음과 왕관(Kind Hearts and Coronets)'' 및 ''하얀 옷을 입은 남자(The Man in the White Suit)''를 포함한 일련의 유명한 코미디를 시작했고, 캐럴 리드(Carol Reed)는 ''탈주자(Odd Man Out)'', ''타락한 우상(The Fallen Idol)'' 및 ''제3의 사나이(The Third Man)''를 연출했다. 데이비드 린(David Lean) 역시 ''짧은 만남(Brief Encounter)''과 디킨스 각색 영화 ''위대한 유산(Great Expectations)''과 ''올리버 트위스트(Oliver Twist)''로, 마이클 파월(Michael Powell) 과 에메릭 프레스버거(Emeric Pressburger)는 ''검은 수선화(Black Narcissus)'' 및 ''붉은 구두(The Red Shoes)''와 같은 영화로 최고의 창작 협업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프리츠 랑(독일)이나 장 르누아르(프랑스) 등 많은 영화인들이 미국으로 망명했다. 1930년대부터 1940년대에 걸쳐 미국에는 유명한 많은 영화 작가들이 전 세계에서 모여들었다.

스튜디오 시스템에 의해 영화 제작 편수도 연간 400편을 넘어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미국은 세계 영화계의 정점에 있었다. 이로 인해 1930년대~1940년대는 "'''할리우드 황금기'''"라고 불린다. 1940년대 말에 스튜디오 시스템은 독점 금지법과 텔레비전의 등장으로 붕괴되었다.

세계적인 불황 속에서 토키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하여, 뮤지컬 영화나 갱 영화가 영화의 주류가 된다. 1934년에는 헤이스 코드라고 불리는 폭력, 섹스, 사회에 대한 묘사를 제약하는 영화 제작 윤리 규정이 만들어졌다. 과격한 폭력 장면이나 성적 장면은 이후 자취를 감추고, 1960년대 후반에 폐지될 때까지 할리우드 영화를 묶어두게 된다.

1932년, 이탈리아에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세계 최초의 군상극 영화 『그랜드 호텔』이 공개되었다. 제5회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을 수상했다.

1933년, 『킹콩』이 공개되었다.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매트 페인팅, , 미니어처 촬영 등 디지털 시대 이전의 특수 효과가 다수 사용된 획기적인 영화로 알려져 있다[145]

1934년 공개된 프랭크 카프라의 『어느 날 밤에 생긴 일』을 시작으로, 미국에서 스크루볼 코미디가 유행했다. 『어느 날 밤에 생긴 일』은 제7회 아카데미상에서 주요 5개 부문에서 노미네이트되어 사상 최초로 5개 부문을 모두 수상했다(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각색상).

1935년, 세계 최초의 컬러 영화 루벤 마물리안의 『허영의 시장』이 공개되었다. 테크니컬러로 제작되었다.

같은 해, 장 르누아르 감독의 『토니』가 공개되었다. 철저한 리얼리즘으로 그려진 본 작품의 영향을 받아, 1930년대 말부터 1940년대에 걸쳐 이탈리아에서 네오리얼리즘 운동이 일어난다.

1937년, 디즈니 제작의 장편 영화 제1작이자, 세계 최초의 컬러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인 『백설공주』가 공개되었다. 로토스코핑이나, 멀티플레인 카메라의 사용 등, 당시로서는 드문 애니메이션 기술을 사용했다.

1939년, 빅터 플레밍 감독의 『오즈의 마법사』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가 공개되었다. 주디 갈랜드 주연의 뮤지컬 영화인 『오즈의 마법사』는, 당시 일반적이던 흑백 필름과, 아직 극히 드물었던 컬러 필름 양쪽으로 촬영되었으며, 그 영상 연출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40년, 디즈니 제작의 애니메이션 영화 『환타지아』가 공개되었다. 스테레오 효과가 이용된 최초의 영화이며, 서라운드 사운드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스테레오 재생 방식이 세계 최초로 일반에 도입되어 실용화되었다.

같은 해에는 아돌프 히틀러와 파시즘을 풍자한 채플린 최초의 토키 영화인 『독재자』가 공개되어 대히트를 기록했다. 마지막 장면에서의 채플린의 6분에 달하는 연설 장면은 "세기의 6분"이라고 불리며 영화사에 남는 장면으로 평가받고 있다[146]

1941년부터 참전한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니버 부인』이나 『카사블랑카』, 『양키 두들 댄디』와 같은 전의 고양을 목적으로 한 애국적인 영화와 선전 작품이 많이 제작되었다.

1946년, 프랑스에서 "칸 영화제"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우리 생애 최고의 해』가 공개되었다. 제19회 아카데미상에서 아카데미 작품상을 비롯하여 당시 아카데미상 최다 기록 (어빙 G. 탈버그상을 포함한 경우)[147] 인 9개 부문을 수상했다.

4. 3. 전후 영화의 조류 (1940년대 후반 ~ 196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화 예술은 큰 시련을 겪었다. 1930년대 중반에 등장한 텔레비전이 1940년대 후반에 실용화되어 전 세계로 퍼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후 영화는 전쟁의 폐허 속에서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냈다.

이탈리아에서는 네오 리얼리즘(신사실주의)이 등장하여 현실을 직시하는 작품들이 나왔다. 로베르토 로셀리니의 《무방비도시》, 비토리오 데 시카의 《자전거 도둑[98] 등이 대표적이다. 이후 페데리코 펠리니의 상징성,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추상성,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의 사회적 감각, 조르주 파졸리니의 상징의 세계로 변모했다.

프랑스에서는 누벨 바그(새물결)라는 전후 세대가 등장하여 일상적인 사실성에서 인간의 진실을 찾으려 했다. 이들은 시네마 베리테(cinema ve­rite)라고도 불렸다. 로베르 브레송 (저항), 클로드 샤브롤 (종형제(從兄弟)]), 알랭 레네 (히로시마, 나의 사랑) 등이 대표적이다. 장 콕토(미녀와 야수》), 장 들라누아(《악마가 밤에 온다)》, 르네 클레망(《철로의 싸움》) 등은 르누아르, 뒤비비에 등과 함께 전통적인 인간 탐구를 이어갔다.

미국에서는 할리우드가 기울면서 TV 출신 신인들이 활약하기 시작했다. 유럽 아방가르드의 전위적 정신은 언더그라운드 영화, 엑스퍼리멘탈 영화를 거쳐 ‘뉴 아메리칸 시네마’로 나타났다. 아서 펜의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마이크 니컬스의 《졸업》, 랠프 넬슨의 《솔저 블루》, 윌리엄 프리드킨의 《프렌치 커넥션》 등이 주목받았다.

영국에서는 데이비드 린(밀회), 캐럴 리드(제3의 사나이) 등이 활약했고, 프리 시네마 운동도 일어났다. 리처드슨, 카렐 라이스, 존 실레딩거 등이 활동했다.

폴란드, 스웨덴 등에서도 국민성을 반영한 독자적인 작품들이 나왔다. 엘리아 카잔(미국), 잉그마르 베리만(스웨덴), 캐럴 리드(영국), 르네 클레망(프랑스), 구로자와 아키라(일본), 앨프리드 히치콕(미국) 등 세계적인 거장들도 활약했다.

1950년대 TV 시대에 맞서 영화는 색채와 대형 화면을 도입했다. 시네마스코프 《성의(聖衣)》(1952), 비스타비전 토드-AO(1958), 70밀리 화면(《남태평양》, 1958) 등이 시도되었다.

세계 각국 간의 국제적인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영화는 문화적인 역할을 더해갔고, 각국의 개성이 더욱 선명하게 드러났다.

1950년 할리우드 영화 ''율리우스 시저''의 프로덕션 장면, 찰턴 헤스턴 주연


1956년 이집트 영화 ''Wakeful Eyes''의 포스터, 살라 주르피카와 샤디아 주연


구로사와 아키라, 일본 영화 감독


Salah Zulfikar & Nadia Lutfi
살라 즈ulfikar와 나디아 루트피가 출연한 ''살라딘 더 빅토리어스''(1963)


라쇼몽 (1950년 영화)。 일본 영화로 처음으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황금사자상과 아카데미상명예상을 수상했다.


사운드 오브 뮤직 (1965)

4. 4. 1970년대 이후의 영화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영화는 텔레비전의 확산과 스튜디오 시스템의 쇠퇴, 그리고 영화 제작 윤리 강령의 종말 이후 새로운 변화를 맞이했다. 이 시기, 영화 제작자들은 더욱 노골적인 성적 콘텐츠와 폭력적인 장면을 묘사하기 시작했다. 1971년에는 《스트로 독스》, 《시계태엽 오렌지》, 《프렌치 커넥션》, 《더티 해리》와 같은 논란이 되는 영화들이 개봉되어 영화 속 폭력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탈리아에서는 네오 리얼리즘(신사실주의)이 로셀리니데시카 등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대표작으로는 로셀리니의 《무방비도시》, 데시카의 《자전거 도둑》 등이 있다. 프랑스에서는 누벨 바그(새물결) 세대가 등장하여, 시네마 베리테(cinema ve­rite)라는 새로운 영화 미학을 제시했다. 브레송의 《저항》, 샤브롤의 《종형제(從兄弟)》, 레네의 《히로시마, 나의 사랑》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미국에서는 뉴 아메리칸 시네마가 등장하여 현대 사회와 인간의 모순을 대담하게 그렸다. 의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니컬스의 《졸업》, 넬슨의 《솔저 블루》, 프리드킨의 《프렌치 커넥션》 등이 주목받았다. 마틴 스코세지,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조지 루카스, 우디 앨런 등 새로운 영화 제작자들이 등장하여 작가주의 이론의 인기를 높였다.

1970년대 중반, 하드코어 포르노그래피 영화가 합법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했다. 《목구멍》과 같은 포르노 영화는 대중 문화 현상이 되었지만, 1980년대 VCR의 대중화로 인해 쇠퇴했다.

세계 영화에서는 무술 영화의 인기가 급증했다. 브루스 리는 《정무문》과 《용쟁호투》를 통해 무술 영화 장르를 대중화시키고 문화적 아이콘이 되었다. 홍콩 액션 영화는 성룡이 출연한 《취권》과 《사형도수》를 통해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 인도 영화에서는 마살라 영화가 인기를 얻었으며, 《쇼레이》(1975)는 가장 인기 있는 인도 영화 중 하나가 되었다.

1980년대에는 VCR이 보급되면서 영화 스튜디오들은 저작권 침해를 우려했지만, 결국 홈 비디오 시장은 영화 산업의 중요한 수입원이 되었다. 루카스스필버그는 《스타워즈》와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등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다. THX Ltd.가 설립되었고, 스필버그의 《E.T.》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디즈니의 《트론》은 컴퓨터 그래픽을 광범위하게 사용한 초기 영화 중 하나였다.

런던 영화 박물관에서 영화 배트맨(1989)의 오리지널 스크립트를 보여주는 사진
1989년 영화 배트맨의 오리지널 스크립트


팀 버튼의 《배트맨》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잭 니콜슨은 조커 연기로 많은 수익을 올렸다. 영국 영화는 골드크레스트 필름스의 등장으로 활기를 띠었다.

일본 영화는 애니메이션 영화의 성공으로 부활했다. 《우주전함 야마토》, 《기동전사 건담》, 《마크로스: 사랑, 기억하고 있습니까?》 등이 성공을 거두었고, 스튜디오 지브리가 설립되었다. 오토모 가츠히로의 《아키라》는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홍콩 액션 영화는 성룡의 등장으로 부활했다. 《프로젝트 A》(1983)는 정교하고 위험한 스턴트와 슬랩스틱 유머를 결합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존 우가 개척한 영웅본색 장르는 주윤발을 스타로 만들었다.

1990년대 초, 미국에서는 독립 영화가 상업적으로 성공하기 시작했다.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1991), 쥬라기 공원(1993), 타이타닉(1997)과 같은 특수 효과 영화들이 큰 인기를 얻었다. 스티븐 소더버그의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1989)와 쿠엔틴 타란티노의 저수지의 개들(1992)과 같은 독립 영화도 성공을 거두었다.

도그마 95 운동은 영화 제작을 정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마틴 스코세지의 좋은 친구들은 갱스터 장르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thumb|upright=1.35|1995년 영화 관람객 수]]

미라맥스(Miramax Films)는 타란티노의 펄프 픽션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디즈니는 애니메이션 영화 미녀와 야수(1991), 알라딘(1992), 라이온 킹 (1994) 등으로 다시 인기를 얻었다.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토이 스토리는 최초의 장편 컴퓨터 애니메이션 영화였다. 1990년대 후반, 디지털 시네마 기술로의 전환이 시작되었고, DVD가 VHS 테이프를 대체했다.

4. 5. 2000년대 이후의 영화

2000년대 후반부터 스트리밍 미디어 플랫폼인 유튜브(YouTube)는 인터넷과 카메라(스마트폰의 기본 기능)에 접근할 수 있는 모든 사람이 전 세계에 동영상을 게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했다. 또한, 비디오 게임 및 기타 형태의 가정 엔터테인먼트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영화 산업은 새로운 3D 기술과 서사시(판타지 및 슈퍼히어로) 영화가 극장의 주류가 되면서 극장 개봉을 다시 매력적으로 만들기 시작했다.

다큐멘터리 영화 또한 상업적인 장르로 부상했는데, 이는 아마도 처음으로, ''펭귄: 위대한 여정''(March of the Penguins)과 마이클 무어의 ''볼링 포 콜럼바인''(Bowling for Columbine) 및 ''화씨 9/11''(Fahrenheit 9/11)과 같은 영화의 성공에 힘입은 것이다. 마틴 쿠네르트와 에릭 매니스의 ''이라크의 목소리''(Voices of Iraq)는 150대의 저렴한 DV 카메라가 이라크 전역에 배포되어 평범한 사람들을 공동 영화 제작자로 변모시키면서 새로운 장르를 창조했다. ''글래디에이터(Gladiator)''의 성공은 서사 영화에 대한 관심을 되살렸고, ''물랑 루즈''(Moulin Rouge!)''는 뮤지컬 영화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했다. 홈 시네마 시스템은 점점 더 정교해졌으며, 해당 시스템에서 상영하도록 설계된 일부 특별판 DVD도 마찬가지였다. ''반지의 제왕 삼부작''(The Lord of the Rings trilogy)은 극장 버전과 홈 시네마 관객만을 위한 특별 확장 버전으로 DVD로 출시되었다.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2003년)


2001년에는 ''해리 포터'' 영화 시리즈가 시작되었고, 2011년 마지막 편이 개봉될 때까지 2015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이를 따라잡기 전까지 역대 최고 흥행 영화 프랜차이즈가 되었다.

영화 영사 기술의 발달로 장편 영화는 이제 아이맥스 영화관에서 동시 개봉될 수 있게 되었는데, 처음은 2002년 디즈니 애니메이션 ''보물성''(Treasure Planet)이었고, 첫 실사 영화는 2003년의 ''매트릭스 2: 리로디드''(The Matrix Revolutions)와 ''매트릭스 2: 리로디드''(The Matrix Reloaded)의 재개봉이었다. 2000년대 후반에는 ''다크 나이트''(The Dark Knight)가 아이맥스 기술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촬영된 최초의 주요 장편 영화였다.

이 10년 동안 영화의 세계화가 증가하여, 외국어 영화가 영어권 시장에서 인기를 얻게 되었다. 이러한 영화의 예로는 ''와호장룡''(Crouching Tiger, Hidden Dragon)(중국어), ''아멜리에''(Amélie)(프랑스어), ''라가안''(Lagaan)(힌디어),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Spirited Away)(일본어), ''시티 오브 갓(City of God)''(브라질 포르투갈어),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The Passion of the Christ)(아람어), ''아포칼립토''(Apocalypto)(마야어) 및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Inglourious Basterds)(다수의 유럽 언어) 등이 있다. 이탈리아는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에서 가장 많은 상을 받은 국가로, 14개의 상, 3개의 특별상, 31개의 후보를 획득했다.

2003년에는 3D 영화의 인기가 부활했는데, 첫 번째는 제임스 카메론의 ''심해의 유령''(Ghosts of the Abyss)으로 리얼리티 카메라 시스템으로 촬영된 최초의 장편 3D 아이맥스 영화로 개봉되었다. 이 카메라 시스템은 필름이 아닌 최신 HD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했으며, 카메론을 위해 에미상 후보에 오른 촬영 감독 빈스 페이스가 그의 사양에 맞춰 제작했다. 동일한 카메라 시스템은 ''스파이 키드 3D: 게임 오버''(Spy Kids 3D: Game Over)(2003), ''심해의 외계인''(Aliens of the Deep) 아이맥스(2005), ''샤크보이와 라바걸의 모험 3-D''(The Adventures of Sharkboy and Lavagirl in 3-D)(2005)를 촬영하는 데 사용되었다.

제임스 카메론의 3D 영화 ''아바타''(Avatar)가 역대 최고 흥행 영화가 된 후, 3D 영화는 많은 다른 영화들이 3D로 개봉되면서 잠시 인기를 얻었으며, 가장 비평적이고 재정적인 성공을 거둔 영화는 유니버설 픽처스/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의 ''슈퍼배드''(Despicable Me)와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의 ''드래곤 길들이기''(How to Train Your Dragon), ''슈렉 포에버''(Shrek Forever After) 및 ''메가마인드''(Megamind)와 같은 장편 애니메이션 분야였다. ''아바타''는 또한 매우 정교한 모션 캡처 기술을 개척하고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Rise of the Planet of the Apes)과 같은 여러 다른 영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도 유명하다.

2011년, 장편 영화 제작 편수가 가장 많은 영화 산업은 인도, 미국, 중국, 나이지리아, 일본이었다.[133] 할리우드에서는 슈퍼히어로 영화가 인기를 얻고 재정적으로 성공을 거두면서, 매년 마블과 DC 코믹스를 기반으로 한 영화들이 개봉되었다.[134] 슈퍼히어로 장르는 미국 박스 오피스 매출에서 가장 지배적인 장르였다.

최고 흥행 영화 목록은 디즈니가 지배했으며, 2019년에는 상위 50위 안에 가장 많은 영화를 올렸다. 2019년 슈퍼히어로 영화 ''어벤져스: 엔드게임''은 역대 박스 오피스에서 가장 성공적인 영화였다. 다른 최고 수익을 올린 영화로는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쥬라기 월드'' 등이 있었다. 디즈니는 이 10년 후반에 ''토이 스토리 3'', ''어벤져스'', ''겨울왕국''과 같은 작품들을 매년 최고 흥행 영화로 배출했다. 디즈니의 성공은 21세기 폭스 디즈니 인수로 절정에 달했다.

주요 영화 스튜디오들은 자체 프랜차이즈로 디즈니의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성공을 따라잡으려 노력했다. 워너 브라더스는 DC 확장 유니버스와 같은 프랜차이즈를 만들었다. 디즈니는 ''알라딘'', ''라이온 킹''과 같은 자사의 클래식 애니메이션 영화의 실사 영화 또는 포토리얼리스틱 리메이크를 제작했다. 청소년 소설을 기반으로 한 영화 시리즈가 인기를 얻으며 판타지에서 디스토피아적인 SF로 옮겨갔다. 주목할 만한 시리즈로는 ''헝거 게임''이 있었다.

''가구야 공주 이야기'', ''여름의 기억'', ''리브 노 트레이스''와 ''마이닝 더 갭''은 로튼 토마토에서 100% 평점을 받았다. 다른 호평을 받은 영화로는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소셜 네트워크'', ''겟 아웃'' 등이 있었다.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트리 오브 라이프'', ''문라이트'', ''기생충''과 같은 영화들은 2010년대 최고의 영화로 평론가들의 설문에 자주 올랐다. 2010년에는 아카데미 역사상 최초의 여성 감독상 수상자가 등장했다. 캐서린 비글로우의 ''허트 로커''는 6개 부문에서 수상했다.[135] 2020년에는 ''기생충''이 아카데미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한 최초의 비영어 영화가 되었다.

코로나19 범유행은 봉쇄 조치에 따라 전 세계 영화관 폐쇄를 초래했다. 2020년대 초에 개봉할 예정이었던 많은 영화들이 개발, 제작, 배급 과정에서 지연되었으며, 일부는 극장 개봉 없이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공개되었다. 이 시기는 영화가 전 세계적으로 제작, 배급, 소비되는 방식에 심오한 변화를 가져왔다. 팬데믹은 영화 배급의 주요 수단으로서 스트리밍으로의 전환을 가속화시켰다. 영화 산업은 변화하는 시대적 역학을 반영하는 주목할 만한 작품들을 제작하며 적응해 나갔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HD24P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디지털 시네마의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CG를 활용한 영화의 디지털화는 진행되었지만, 필름과 비디오의 기본적인 표시 방식의 차이(필름은 24프레임/초・논-인터레이스이고, 비디오는 30프레임/초의 인터레이스) 때문에 텔레시네라는 가공 단계를 거쳐야 했고, 이것이 큰 걸림돌이 되었다. 하지만 HD24P는 필름과 같은 형식으로 기록이 가능하기 때문에 텔레시네 가공이 필요 없고, 다이렉트로 디지털 가공이 가능하다는 획기적인 상품이었다. 『스타워즈 에피소드 2: 클론의 습격』(2002년)에서 이용되어 실용성이 증명된 후에 채용이 잇따르면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제작으로의 전환이 진행되었다.

특히 2000년 공개된 『오, 형제여!』에서는, 컬러리스트에 의해 사상 처음으로 전편 디지털 컬러 컬렉션 (영상의 색을 보정하는 작업) 기술이 사용된 영화가 되었고, 2004년에 공개된 『스카이 캡틴 앤 투모로우 월드』는, 세계 최초로 전편 디지털 백그라운드 (배경이 모두 CG의 디지털 합성)로 촬영된 영화가 되었다.

한편,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가정에서도 HDTV, 액정 디스플레이, 블루레이, HDMI 등으로 HD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기존의 해상도의 한계를 넘어설 필요가 생겼다.

또한 컴퓨터 그래픽스 (CG) 기술의 대폭적인 발전에 따라, 『엑스맨』 (2000년)과 『스파이더맨』 (2002년), 『트랜스포머』 (2007년),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 펄의 저주』 (2003년) 등 이전에는 영상화가 어려웠던 세계관의 작품이나, 만화나 애니메이션이 원작인 초대작 시리즈가 많이 제작되었고, 모든 작품이 대히트를 기록했다.

2000년 공개된 『글래디에이터』와, 다음 해에 공개된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가 대히트하면서, 1990년대 이후 쇠퇴하던 검과 샌들 영화와 판타지 영화의 인기가 부활했다. 『트로이』 (2004년)나 『에라곤』 (2006년) 『300』 (2007년) 등이 공개되었다. CG의 대폭적인 발전과 보급으로, 판타지 표현에 대한 한계가 사실상 없어진 것도, 붐의 이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2003년)은, 전 세계 흥행 수입이 『타이타닉』 (1997년) 이후 사상 2번째로 10억 달러를 돌파한 작품이 되었고, 제76회 아카데미상에서는 『벤허』 (1959년)와 『타이타닉』에 필적하는 사상 최다 11개 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로 인해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3부작은, 『스타워즈』 오리지널 3부작, 『대부』 3부작을 넘어 세계에서 가장 상업적으로 성공한 3부작이 되었다.

동 시기에는, J. K. 롤링의 판타지 소설을 영화화한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2001년)을 필두로, 『해리 포터』 시리즈 (마법의 세계)가 오랫동안 세계적인 대히트를 기록했다. 그 『해리 포터』 시리즈를 중심으로, 아동 문학 원작의 영화가 붐이 되어, 『나니아 연대기』(2006년)와 『황금 나침반』(2007년) 등이 공개되었지만, 『해리 포터』 정도의 성공에는 이르지 못했다.

또한 판타지 영화가 히트한 한편, 『시티 오브 갓』 (2002년)과 『호텔 르완다』 (2004년), 『뮌헨』 (2005년), 『유나이티드 93』 (2006년) 등 실화를 바탕으로 한 사회파 영화와, 『콘스탄트 가드너』 (2004년)나 『로드 오브 워』 (2005년), 『블러드 다이아몬드』 (2006년) 등 실제 사회 문제나 국제 문제 등을 소재로 한 작품이 2000년대에 유행했으며, 모든 작품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유행한 이유로는, 9.11 테러와 이라크 전쟁 등의 영향으로, 미국 내에서 사회 문제에 대해 민감해진 것을 들 수 있다.

2001년에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스튜디오 지브리 작품인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 공개되어, 흥행 수입이 300억 엔을 넘었고, 당시 일본 역대 흥행 수입 1위를 달성했다. 다음 해에는, 제5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의 경쟁 부문에 출품되어, 최우수 작품상인 황금곰상을 수상했다. 세계 3대 영화제에서 장편 애니메이션이 최고상을 수상한 것은 사상 최초의 쾌거였다.

같은 해, 『물랑 루즈』가 공개되었다. 클래식과 고전 뮤지컬에서 최신 히트 팝까지, 기존 곡을 리믹스한 뮤지컬 넘버로 히트를 쳤다. 다음 해에는 『시카고』가 공개되어, 제75회 아카데미상에서 작품상을 포함한 6개 부문 수상. 뮤지컬 영화는 히트하지 않는 상황이 계속되었지만, 그 징크스를 깨고 인기를 얻었다. 이후, 브로드웨이의 히트작을 영화화하는 형태로, 다시 뮤지컬 영화가 붐이 일었다.

2002년, 마이클 무어 감독의 『볼링 포 콜럼바인』이 이례적인 히트를 기록하고, 다큐멘터리 영화가 새로운 상업 장르로 주목을 받았다. 『화씨 911』과 『슈퍼 사이즈 미』 (둘 다 2004년)와 같은 돌격 취재 형식이나, 『딥 블루』 (2003년)

와 『황제펭귄』 (2005년), 『어스』 (2007년)와 같은 자연 다큐멘터리, 그 외 『불편한 진실』 (2006년) 등의 폭넓은 작품이 제작되었다.

같은 해, 『보물성』이 공개되었다. 첫 공개 시에 IMAX 상영이 이루어진 최초의 영화가 되었다. 실사 영화로는, 다음 해의 『매트릭스 2: 리로디드』와 『매트릭스 3: 레볼루션』이 처음이었다.

2005년에는, 지금까지 할리우드 영화계에서 금기시되던 동성애를 주제로 한 작품 『브로크백 마운틴』이 공개되어, 화제를 모았다. 감독인 이안은, 이 영화를 "보편적인 러브 스토리"라고 강조했으며, 그 테마는 관객에게 널리 받아들여져, 인기를 얻었다.

2006년에 공개된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은 사상 최단 기간에 1억 달러, 2억 달러, 3억 달러를 돌파하고, 사상 최단 기간에 전 세계 흥행 수입 10억 달러를 돌파하며, 많은 세계 기록을 세웠다.

2008년, 배트맨을 소재로 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다크 나이트』가 공개되었다. 전작 『배트맨 비긴즈』에 이은 "다크 나이트 3부작"의 두 번째 작품이었지만, 공개 당시 『타이타닉』에 이은, 북미 흥행 수입 역대 2위를 기록했다. 그 해에 사망한 조커 역의 히스 레저는 세계적으로 평가받아 수많은 영화상을 휩쓸었다. 또한 본작은 시작 부분 6분간을 포함해, 6개의 큰 액션 장면에서 65mm 필름의 IMAX 카메라를 사용했다. 처음으로 IMAX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된 할리우드 대작이 되었다. 현재에도 코믹스 영화 사상 최고의 영화로 평가받고 있다.

2009년 무렵부터는, 입체 영화가 1980년대 이후 세 번째 붐이 일었다. 할리우드가 많은 입체 영화를 제작했고, 기존 작품을 3D로 변환하여 입체 영화로 재상영하는 경우도 있다. 그 중에서도 제임스 캐머런 감독의 『아바타』가, 3D 영상을 이용한 극장 공개가 크게 주목받아, 전 세계 흥행 수입은 자신이 가진 『타이타닉』의 기록을 크게 넘어선 27억 8,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일본 영화에서는, 2003년에 『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 2: 레인보우 브릿지를 봉쇄하라!』가, 일본 내 흥행 수입 173.5억 엔을 기록하는 대히트를 기록했다. 이것은 2023년 현재에도, 실사 일본 영화 역대 흥행 수입 1위의 기록이다.

또한, 1998년 공개된 『링』이 세계적으로 히트했고, 그 후에도 『주온』 (2003년)이나 『착신아리』 (2004년) 등도 성공하면서, 소위 "J호러" 붐이 세계적으로 일어났다. 그 기세 그대로, 할리우드에서 리메이크판인 『더 링』 (2002년)과 『THE JUON/주온』 (2004년)도 제작되었고, 이 또한 일정한 성공을 거두었다.

|thumb|200px|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인터타이틀

2008년 공개된 『아이언맨』의 흥행 성공 이후, 다양한 마블 코믹스의 실사 영화를 동일한 세계관의 크로스오버 작품으로 다루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시리즈가 부상했다. 세계에서 가장 큰 흥행 성공을 거둔 영화 시리즈로서, 2위인 『스타 워즈』 시리즈를 크게 앞지르며, 세계 역대 1위의 흥행 수입을 기록했다. 2019년에는 시리즈 22번째 작품인 『어벤져스: 엔드게임』이 『아바타』(2009년)의 기록을 넘어 당시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156][157] 또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성공에 따라, 『DC 확장 유니버스』나 『몬스터버스』와 같은 시리즈 작품의 미디어 프랜차이즈 및 공유 유니버스화가 유행했다.

2008년 공개된 『트와일라잇』이 전 세계적으로 대히트를 기록하면서, 영 어덜트 소설 원작의 영화가 2010년대 초반부터 중반에 걸쳐 일대 붐을 일으켰다. 그 『트와일라잇』의 속편이나 『헝거 게임』(2012년), 『다이버전트』, 『메이즈 러너』(모두 2014년) 등도 마찬가지로 세계적인 대히트를 기록했지만, 일본에서는 어떠한 작품도 거의 흥행에 성공하지 못했다. 2000년대의 『해리 포터』 시리즈가 일본에서도 대히트를 기록했고, 다른 아동 문학 원작의 영화들도 그럭저럭 흥행에 성공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라고 할 수 있다.

2010년, 페이스북을 창업한 마크 저커버그 등을 그린 영화 『소셜 네트워크』가 공개되었다. 당시 아직 드물었던 4K 해상도 카메라의 레드 원을 사용하고, 영화 초반의 마크와 에리카의 대화 장면에서 99번이나 촬영하는 등, 도전적인 촬영 방식이 화제가 되어, 다양한 평론가와 관객들에게 극찬을 받았다. 그 높은 평가로 인해 "21세기의 『시민 케인』"이라고까지 평가받았다.

2013년(일본에서는 2014년)에는 디즈니에서 CG 애니메이션 영화 『겨울왕국』이 공개되었다. 본 작품은 미국 영화로서는 『아바타』(2009년) 이후의 대히트작이 되었으며, 각국에서 애니메이션 영화의 동원 기록을 갈아치우고, 세계적으로 사회 현상이 되었다.

같은 해, 『그래비티』가 공개되었다. 거대한 회전 장치나 모션 컨트롤 로봇, 벽면 전체가 LED로 둘러싸인 "라이트 박스"라는 특수 장치를 발명하는 등, 우주 공간에서의 무중력 표현을 충실히 재현하여, 3D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칭송받았다. 또한 본 작품 이후, 『덩케르크』나 『1917 - 죽음의 계곡』 등, 리얼한 현장감과 몰입감을 연출하여, 그 자리에 있는 듯한 박력을 느낄 수 있는 "체험형 영화"라는 단어가 생겨났다.

2010년대 중반부터, 영화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제공하는, 구독 방식의 정액제 동영상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넷플릭스"나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는 자체 영화 제작에도 힘을 쏟았다. 그중에서도 넷플릭스의 작품 『로마』(2018년)는, 흑백의 소규모 영화이면서도, 6K 카메라 알렉사 65로 촬영된 65mm의 아름다운 영상이, 가정의 텔레비전에서 4K 해상도로 시청할 수 있다는 점이 화제가 되었다.

또한, 영화관에서도 새로운 영화 체험이 사용되었고, 일반 영화에 사용되는 필름보다 큰 사이즈의 영상을 기록하고 상영할 수 있는 IMAX나, 영화의 영상·음성에 맞춰 좌석 가동이나 환경 효과를 체험할 수 있는 4DX 등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2015년, 전작 『매드 맥스 2』(1985년) 이후 27년 만에 제작된 『매드 맥스』 시리즈의 4번째 작품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가 공개되었다. 본 작품은 2010년대를 대표하는 액션 영화로서 큰 화제를 모았고, 이 해 가장 높게 평가받은 영화 중 하나가 되었다.

제88회 아카데미상의 노미네이션에서, 연기 부문의 후보자 20명이 2년 연속 백인으로 채워지면서, "Oscars So White(너무 하얀 오스카)"라고 불리는 해시태그가 트위터에서 트렌드화되는 등, 할리우드 내의 인종 다양성의 결여가 세계적으로 큰 파문을 일으켰다.

2016년,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 『너의 이름은.』이 공개되어, SNS와 입소문을 통해 화제가 되면서, 일본 국내 흥행 수입은 순식간에 250.3억 엔을 기록했다. 당시 일본 역대 흥행 수입 랭킹에서는 일본 영화로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1년)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뮤지컬 영화 『라라랜드』가 공개되었다. 옛 뮤지컬에 대한 오마주가 화제를 모았고, 제74회 골든 글로브상에서는 노미네이트된 7개 부문을 모두 수상하며, 역대 최다 수상 기록을 세웠다.[158] 제70회 영국 아카데미상에서는 11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어 6개 부문을 수상했다.[159] 제89회 아카데미상에서는 『타이타닉』(1997년), 『이브의 모든 것』(1950년)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역대 최다 14개 부문 노미네이트(13개 부문)를 기록했다.[159] 또한 카메라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속으로 움직여 영상을 흐릿하게 만드는 촬영 기법 "고속 팬"(일반적으로 이라고 불림)이 효과적으로 사용되면서, 이 촬영 기법은 데이미언 셔젤의 대명사가 되었다.

2017년 10월 5일, 뉴욕 타임스의 기자가, 영화 프로듀서인 하비 와인스틴에 의한 수십 년에 걸친 성희롱을 고발하는 기사를 발표했다.[160] 이후 와인스타인 효과라고 불릴 정도의 큰 반향을 일으켰고, 이 영향으로 성희롱이나 성폭력의 경험을 공유하도록 장려하는 미투 운동과 피해의 근절을 호소하는 타임스 업 운동이 일어났다. 그러한 정세를 반영하여, 이후 『쓰리 빌보드』(2017년)나 『밤쉘』(2019년) 『어시스턴트』(2020년) 『프라미싱 영 우먼』(2020년) 『라스트 듀얼: 최후의 결투』(2021년) 『우먼 토킹』(2022년) 등, "분노한 여성"이나 "유해한 남성성"을 그린 작품들이 많이 제작되었다.

또한 제90회 아카데미상에서는, 여배우 프랜시스 맥도먼드가 자신의 수상 소감에서 "인클루전 라이더"라는 말을 언급하며, 배우 및 스태프의 다양성을 확보하도록 요구하는 할리우드의 새로운 조항이 탄생했다.

2018년, 『스파이더맨』의 영화로서는 최초의 애니메이션 작품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가 공개되었다. 코믹과 같은 룩을 구현하기 위해, 영상은 CG로 렌더링된 후 손으로 마무리하는 기법이 사용되었다.[161][162] 본 작품에서 개발된 애니메이션의 프로세스 및 기술은 2018년 12월, 미국 특허청에 특허 신청되었다.[163][164]

2019년 3월, 『타이타닉』이나 『스타워즈』의 제작을 맡았던 20세기 폭스가 디즈니에 인수되었다.

같은 해 10월 배트맨의 악당을 소재로 한 작품 『조커』가, R등급 작품으로 사상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또한, 로케이션 장소였던 뉴욕·브롱크스 지구에 있는 계단이 관광 명소가 되었다.

같은 해,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제72회 칸 영화제에서 한국 영화 최초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제92회 아카데미상에서는, 사상 최초의 외국어 영화 작품상 수상이었으며, 아카데미 작품상과 칸의 최고상을 동시에 수상한 작품은 『마티』(1955년) 이후 65년 만이었다. 일본에서는 기

5. 한국 영화의 발전

영화 프로젝트

각국의 영화사에 관해서는, 각국의 영화를 참조할 것.



=== 일제강점기 (1910년대 ~ 1945년) ===

일제강점기(1910년대 ~ 1945년) 동안 한국 영화는 일본의 식민 통치 아래 놓였다. 이 시기 영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일본 영화를 참조할 수 있다.

=== 해방 이후 ~ 1960년대 ===

'''영화 포털'''
영화 프로젝트

각국의 영화사에 관해서는, 각국의 영화를 참조할 것.

=== 1970년대 ~ 1990년대 ===

'''영화 포털'''
영화 프로젝트

각국의 영화사에 관해서는, 각국의 영화를 참조할 것.

=== 2000년대 이후 ===

'''영화 포털'''
영화 프로젝트

각국의 영화 문서를 참고하면 각 나라별 영화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5. 1. 일제강점기 (1910년대 ~ 1945년)

일제강점기(1910년대 ~ 1945년) 동안 한국 영화는 일본의 식민 통치 아래 놓였다. 이 시기 영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일본 영화를 참조할 수 있다.

5. 2. 해방 이후 ~ 1960년대

영화 프로젝트

각국의 영화사에 관해서는, 각국의 영화를 참조할 것.

5. 3. 1970년대 ~ 1990년대

영화 프로젝트

각국의 영화사에 관해서는, 각국의 영화를 참조할 것.

5. 4. 2000년대 이후

영화 프로젝트

각국의 영화 문서를 참고하면 각 나라별 영화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6. 결론

참조

[1] 서적 Light and shadows: a history of motion pictures http://archive.org/d[...] Palo Alto, Calif. : Mayfield Pub. Co. 1987
[2] 서적 History of film Thames & Hudson Ltd 2012
[3] 서적 Ghost Images: Cinema of the Afterlife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4-09-27
[4] 웹사이트 The Magic Lantern Shows that Influenced Modern Horror https://daily.jstor.[...] 2020-08-15
[5] 간행물 Phantasmagoria: Spectral Technology and the Metaphorics of Modern Reverie 1988
[6] 간행물 The Phantasmagoria 1996
[7] 간행물 Next Slide Please: The Magical, Scientific, and Corporate Discourses of Visual Projection Technologies 2006
[8] 서적 Cinematicity in Media History Edinburgh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Landscape in Motion: Muybridge and the Origins of Chronophotography 2015
[10] 간행물 Counterfeit Motion: The Animated Films of Eadweard Muybridge 2003
[11] 간행물 Copycats: Anschütz Chronophotographs as Direct Source Materials for Early Edison Kinetoscope Films https://www.academia[...]
[12] 웹사이트 Le Théâtre optique – Émile Reynaud http://www.emilereyn[...] 2008-11-11
[13] 간행물 Emile Reynaud: First Motion Picture Cartoonist
[14] 웹사이트 Ottomar Anschütz, Kinogeschichte, lebender Bilder, Kino, erste-Kinovorführung, Kinovorführung, Projektion, Kinoe, Bewegungsbilder http://www.ottomar-a[...] 2020-04-19
[15] 서적 The man who invented motion pictures: a true tale of obsession, murder, and the movies https://www.worldcat[...] Simon & Schuster 2022
[16] 서적 Film Histories: An Introduction and Reader https://www.jstor.or[...]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7
[17] 서적 Before the nickelodeon: Edwin S. Porter and the Edison Manufacturing Compan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18] 뉴스 The World Of Science https://www.newspape[...] Democrat and Chronicle 2022-06-21
[19] 웹사이트 Film History Before 1920 https://www.filmsite[...] 2021-10-20
[20] 간행물 A Chronology of Cinema, 1889–1896 1995
[21] 서적 A world history of film Harry N. Abrams 2002
[22] 서적 The Cinema of Attractions Reloaded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6
[23] 웹사이트 Birth of An Industry: Blackface Minstrelsy and the Rise of American Animation: Vaudeville and the Movies https://scalar.usc.e[...] USC.edu
[24] 뉴스 Silent Films Had a Musical Voic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11-04
[25] 서적 American Cinema 1890–1909: Themes and Variations Rutgers University Press 2009
[26] 서적 Light and shadows: a history of motion pictures http://archive.org/d[...] Palo Alto, Calif. : Mayfield Pub. Co. 1987
[27] 간행물 First Fictions 2004
[28] 웹사이트 The First Movie Kiss https://daily.jstor.[...] 2021-09-16
[29]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film history 2011
[30] 간행물 A Few Remaining Hours: News Films and the Interest in Technology in Amsterdam Film Shows, 1896–1910 1999
[31] 간행물 The Story Comes to the Screen: 1896–1906 1955
[32] 간행물 Panoramas, Parades and the Picturesque: The Aesthetics of British Actuality Films, 1895–1901 2004
[33] 서적 Motion Pictures https://books.google[...] The Oliver Press
[34] 서적 Early cinema: space, frame, narrative http://archive.org/d[...] London : BFI Pub. 1990
[35] 서적 Encyclopedia of Early Cinema Routledge 2004-03-01
[36] 논문 James J. Corbett: Theatrical Star https://www.jstor.or[...] 1976
[37] 웹사이트 Smith, Percy (1880–1945) http://www.screenonl[...] 2011-04-24
[38] 웹사이트 Percy Smith http://www.wildfilmh[...] 2011-04-24
[39] 서적 An Introduction to World Cinema McFarland Company, Inc 2000
[40] 서적 A history of narrative film Norton 1990
[41] 서적 World film directors: Volume I 1890–1945 H. W. Wilson 1987
[42] 웹사이트 Film History Milestones – Pre-1900s https://www.filmsite[...] 2021-09-22
[43] 논문 Georges Méliès and the "Féerie" 1976
[44] 간행물 The Gentleman in the Stalls: Georges Méliès and Spectatorship in Early Cinema https://www.degruyt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22-07-28
[45] 서적 A history of film http://archive.org/d[...] Boston : Allyn & Bacon 2010
[46] 논문 In the Belly of the Beast: The Early Years of Pathé-Frères https://www.jstor.or[...] 1993
[47] 서적 Birth of the motion picture http://archive.org/d[...] New York : Abrams 1995
[48] 문서 Les origines de Pathé-Natan http://www.latrobe.e[...] Paris: Harmattan, Collection Champs Visuels 1997
[49] 서적 Alice Guy Blaché Cinema Pioneer Yale University Press
[50] 서적 The Cinema of Attractions Reloaded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6
[51] 웹사이트 The Indian Chief and the Seidlitz Powder https://player.bfi.o[...] 2022-05-26
[52] 웹사이트 Come Along, Do! http://www.screenonl[...] 2011-04-24
[53] 웹사이트 BFI Screenonline: Scrooge, or, Marley's Ghost (1901) http://www.screenonl[...] 2022-07-20
[54] 논문 A short history of superimposition: From spirit photography to early cinema http://www.tandfonli[...] 2012-03-21
[55] 서적 The modern supernatural and the beginnings of cinema Springer 2017-01-10
[56] 웹사이트 Santa Claus (1898) http://www.screenonl[...] BFI Screenonline
[57] 서적 Silver Screen to Digital: A Brief History of Film Technology Indiana University Press 2019
[58] 웹사이트 The Kiss in the Tunnel http://arts.brighton[...] 2020-08-17
[59] 웹사이트 BFI Screenonline: Smith, G.A. (1864–1959) Biography http://www.screenonl[...] 2020-08-17
[60] 논문 Smith the Showman: The Early Years of George Albert Smith 1998
[61] 웹사이트 As Seen Through a Telescope http://www.screenonl[...] 2011-04-24
[62] 웹사이트 BFI Screenonline: Attack on a China Mission (1900) http://www.screenonl[...] 2020-08-18
[63] 서적 100 Westerns: BFI Screen Guides https://www.screenst[...] Bloomsbury Publishing (UK) 2006
[64] 웹사이트 BFI Screenonline: Big Swallow, The (1901) http://www.screenonl[...] 2022-07-19
[65] 웹사이트 BFI Screenonline: Mary Jane's Mishap or, Don't Fool with the Paraffin (1903) http://www.screenonl[...] 2020-08-18
[66] 웹사이트 BBC – A History of the World – Object: Kinemacolor 35mm cine-camera http://www.bbc.co.uk[...] 2020-08-18
[67] 웹사이트 BFI Screenonline: Stop Thief! (1901) http://www.screenonl[...] 2020-08-18
[68] 웹사이트 The execution of Mary Stuart 1895 http://www.lomograph[...] 2013-12-30
[69] 뉴스 Opinion: Yes, the new Mary Queen of Scots film is inaccurate – but historians can't agree on her anyway https://www.independ[...] 2020-08-16
[70] 뉴스 A Bloody Rivalry for the Throne, This Time With Margot Robbie https://www.nytimes.[...] 2020-08-16
[71] 논문 EDWIN S. PORTER'S THE GREAT TRAIN ROBBERY: A Focus on the Origins of Narrative Structure https://www.jstor.or[...] 1980
[72] 웹사이트 The Great Train Robbery (1903) https://www.filmsite[...] 2020-08-18
[73] 서적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motion picture (1887–1909) http://archive.org/d[...] New York, Arno Press 1973
[74]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the cinema, 1907–1915 C. Scribner 1990
[75] 서적 A Short History of Film Rutgers University Press 2018-03-30
[76] 서적 Destination Hollywood McFarland
[77] 서적 You Could Be the Winner (Volume – II) Sankalp Publication 2019-09-24
[78] 웹사이트 On the 'Danishness' of Danish Films in Germany until 1918 https://www.kosmoram[...] 2020-08-18
[79] 서적 The Red Rooster Scare Making Cinema American, 1900–19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0] 서적 A Second Life-German Cinema's First Decades Amsterdam University Press 1996
[81] 서적 Film Style and Technology-History and Analysis Starword
[82] 서적 Film Theory and Contemporary Hollywood Movies Taylor & Francis 2009-06-03
[83] 웹사이트 Timeline of Greatest Film History Milestones'..."1914" http://www.filmsite.[...] American Movie Classics 2009-04-15
[84] 웹사이트 When Hollywood's Power Players Were Women https://www.theatlan[...] 2020-08-15
[85] 서적 Hollywood lighting from the silent era to film noir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86] 서적 Blade Runner https://books.google[...] BFI modern classics, British Film Institute 1997
[87] 웹사이트 Studio Babelsberg (Potsdam, Germany) https://www.european[...]
[88] 웹사이트 Babelsberg: World's oldest large-scale film studio – DW – 01/04/2022 https://www.dw.com/e[...]
[89] 웹사이트 110 years of Studio Babelsberg https://www.studioba[...] 2022-02-10
[90] 웹사이트 Berlin: How Studio Babelsberg Beat the Odds, from 'The Pianist' to 'The Matrix Resurrections' https://www.hollywoo[...] 2022-02-10
[91]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studioba[...]
[92] 웹사이트 Out of darkness: the influence of German Expressionism https://www.acmi.net[...]
[93] 웹사이트 Top 10 Sci-Fi Films of the 1920s – scifist 2.0 https://scifist.net/[...] Scifist.net 2019-01-13
[94] 웹사이트 When German Exiles Lit up Hollywood's Screens – USC News https://news.usc.edu[...] News.usc.edu 1997-03-17
[95] 웹사이트 Film History of the 1920s http://www.filmsite.[...] 2017-01-31
[96] 서적 The Art of Movies Nicolae Sfetcu 2014-05-06
[97] 뉴스 World's first colour film footage viewed for first time https://www.bbc.com/[...] 2023-05-09
[98] 뉴스 The Bicycle Thief / Bicycle Thieves (1949) http://rogerebert.su[...] 2011-09-08
[99] 서적 Transnational Cinematic and Popular Music Icons : Lena Horne, Dorothy Dandridge, and Queen Latifah, 1917–2017 Lexington Books
[100] 웹사이트 The Golden Age of the Foreign Film http://www.filmforum[...] Film Forum 2009-05-29
[101] 웹사이트 Hybrid Cinematics: Rethinking the role of filmmakers of color in American Cinema http://cmsw.mit.edu/[...]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14-11-04
[102] 웹사이트 A Slanted Canon http://www.asianamer[...] Asian American Film Commentary 2009-04-24
[103] 논문 The 'Sight & Sound' of Canons http://www.horschamp[...] Canada Council for the Arts 2009-04-19
[104] 뉴스 Anime, Japanese Cinema's Second Golden Age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2002-01-20
[105] 서적 Satyajit Ray: The Inner Eye: The Biography of a Master Film-Maker I. B. Tauris
[106] 웹사이트 Martin Scorsese hits DC, hangs with the Hachet http://media.www.gwh[...] Hatchet 2006-06-29
[107] 웹사이트 Raging Bull: A film review http://www.filmcriti[...] Filmcritic.com 2009-05-04
[108] 웹사이트 Ivory, James (1928–) http://www.screenonl[...] Screen Online 2007-02-12
[109] 웹사이트 THE 'WORLD' OF SATYAJIT RAY: LEGACY OF INDIA'S PREMIER FILM MAKER ON DISPLAY http://www.nydailyne[...] 1995-05-05
[110] 웹사이트 Ordeals of the Alien http://www.satyajitr[...] Satyajit Ray Society 2008-04-21
[111] 뉴스 Satyajit Ray Collection receives Packard grant and lecture endowment http://www.ucsc.edu/[...] UC Santa Cruz Currents online 2001-09-17
[112] 웹사이트 Satyajit Ray is this Spanish director's inspiration http://ibnlive.in.co[...] CNN-IBN 2008-03-11
[113] 간행물 Before and After: Origins and Death in the Work of Jean-Luc Godard http://archive.sense[...] 2006-06-29
[114] 웹사이트 Film Reviews: Grave of the Fireflies (Hotaru no Haka) http://www.danieltho[...] 2009-05-30
[115] 웹사이트 On Ray's Trail http://www.thestates[...] The Statesman 2007-10-19
[116] 웹사이트 Mumbai rising http://www.bfi.org.u[...] 2009-02-01
[117] 논문 An Art Wedded to Truth http://satyajitray.u[...]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2009-05-11
[118] 웹사이트 Subrata Mitra http://www.cinematog[...] Internet Encyclopedia of Cinematographers 2009-05-22
[119] 웹사이트 2002 Sight & Sound Top Films Survey of 253 International Critics & Film Directors http://www.cinemacom[...] Cinemacom 2009-04-19
[120]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Korean Film http://www.pusanweb.[...] 2009-05-22
[121] 웹사이트 1945–1959 http://koreanfilm.or[...] Korean Film Page 2009-05-22
[122] 문서 Is the Curtain Finally Falling on the Philippine Kovie Industry? http://www.philnews.[...] 2009-01-25
[123] 웹사이트 History of Philippine Cinema http://www.aenet.org[...] Aenet 2009-05-22
[124] 웹사이트 10 times Salah Zulfakar pioneered best scenes in Egyptian cinema https://www.egypttod[...] 2017-11-13
[125] 웹사이트 Remembering Ezz Eldin Zulfikar: The romantic film pioneer – Film – Arts & Culture https://english.ahra[...] 2021-12-04
[126] 웹사이트 The golden age of Egyptian cinema – Focus – Al-Ahram Weekly https://english.ahra[...] 2021-12-04
[127] 웹사이트 عائلة كرامازوف المصرية.. تشعبت فنياً وأسرياً بالزواج "المزدوج" https://www.alqabas.[...] 2021-12-04
[128] 웹사이트 10 groundbreaking films that made Youssef Chahine a pioneer https://stepfeed.com[...] 2021-12-04
[129] 서적 Indian Popular Cinema: A Narrative of Cultural Change Trentham Books
[130] 웹사이트 THX Milestones http://www.thx.com/m[...] 2006-11-09
[131] 웹사이트 You don't know Jack (Nicholson) https://edition.cnn.[...] 2013-11-08
[132] 웹사이트 3D Box Office Hits Lowest Levels in Eight Years https://variety.com/[...] 2018-04-04
[133] 간행물 As Its Box Office Booms, Chinese Cinema Makes a 3-D Push http://www.time.com/[...] 2011-10-18
[134] 뉴스 They're here to save the world: but how many superhero movies can we take?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and Media Limited 2014-11-01
[135] 서적 Kathryn Bigelow Cavendish Square Publishing
[136] 문서 ドミートリイ・ショスタコーヴィチ、ピエール・ブーレーズなど
[137] 뉴스 神戸を知る 映画記念碑 https://web.archive.[...] 神戸市
[138] 뉴스 神戸開港150年記念上映~映画初上陸は神戸だった!~「映画の初めて」集めました https://www.kavc.or.[...] 神戸市民文化振興財団
[139] 문서 武部好伸『大阪「映画」事始め』(彩流社)
[140] 뉴스 映画発祥の地は大阪? 1896年の試写会記録発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6年10月2日
[141] 웹사이트 「〈喜劇映画〉を発明した男 帝王マック・セネット自らを語る」 {{!}} 今月の1冊|神戸映画資料館 https://kobe-eiga.ne[...] 神戸映画資料館 2024-10-10
[142] 웹사이트 【図書】 〈喜劇映画〉を発明した男 https://opac.lib.cit[...] 横浜市立図書館 2024-10-10
[143] 서적 明治・大正家庭史年表:1868→1925 河出書房新社
[144] 논문 Documentary Films Elsevier Science & Technology 2003
[145] 서적 How Hollywood Works SAGE Publications Ltd 2003
[146] 웹사이트 https://www.tv-asahi[...]
[147] 문서 バーグ(1990年) p.281
[148] 문서 外部リンクに映像
[149] 문서 浜野保樹「解説・黒澤明の形成―グランプリ」({{Harvnb|大系1|2009|pp=712-714}})
[150] 문서 MacDonald p=235
[151] 웹사이트 The Mafia in Popular Culture http://www.history.c[...] A&E Television Networks 2009
[152] 문서 "か弱い存在と位置づけられていた女性が,(中略)アクションの担い手へと立場を変えたのである" {{harvtxt|塚本まゆみ|2003|pp=103-104}}
[153] 웹사이트 「AKIRA」ハリウッドで実写版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08-02-23
[154] 웹사이트 大友克洋のあくなき挑戦 大友アニメーションを振り返る 全集にブルーレイ「AKIRA」 https://yorozoonews.[...] デイリースポーツ 2022-01-29
[155] 웹사이트 『AKIRA』はなにがすごいのか…! IMAXで蘇る傑作 https://www.cinemato[...] 株式会社シネマトゥデイ 2020-04-03
[156] 웹사이트 Avengers: Endgame finally passes Avatar as the biggest movie of all time https://www.theverge[...] 2019-07-21
[157] 웹사이트 ‘Avatar’ Overtakes ‘Avengers: Endgame’ As All-Time Highest-Grossing Film Worldwide; Rises To $2.8B Amid China Reissue – Update https://deadline.com[...] 2021-03-13
[158] 뉴스 ゴールデングローブ賞発表 「ラ・ラ・ランド」が史上最多7部門を受賞 https://eiga.com/new[...] 2017-01-09
[159] 웹사이트 【第89回アカデミー賞】ライアン・ゴズリング主演『ラ・ラ・ランド』が本年度最多13部門14ノミネートを記録!『タイタニック』に並ぶ快挙! http://top.tsite.jp/[...] T-SITEニュース
[160] 뉴스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2017年10月5日 https://www.nytimes.[...] ニューヨーク・タイムズ 2017-10-05
[161] 웹사이트 Sony Developing ‘Spider-Man: Into the Spider-Verse’ Sequel and Spinoff https://variety.com/[...] Variety 2018-11-27
[162] 웹사이트 Spider-Man: Into the Spider-Verse’s unique art style meant ‘making five movies’ https://www.polygon.[...] Polygon 2018-12-11
[163] 웹사이트 Sony Gets Inventive, Seeks Patents For ‘Spider-Man: Into The Spider-Verse’ Animation Tech https://deadline.com[...] Deadline 2018-12-12
[164] 웹사이트 『スパイダーマン:スパイダーバース』のアニメーション手法が良すぎてSonyが特許を申請 https://www.gizmodo.[...] Gizmodo日本語版 2018-12-13
[165] 웹사이트 映画「バービー」、週末で今年最高の収入 「原爆の父」の作品も好調 https://www.asahi.co[...] 2023-07-26
[166] 웹사이트 映画「オッペンハイマー」の興行収入が伝記映画歴代1位に https://www.tokyo-sp[...] 2023-09-18
[167] 뉴스 BBC News - Barbie overtakes Super Mario Bros to be 2023's biggest box office hit https://www.bbc.co.u[...] BBC 2023-09-04
[168] 뉴스 「バービー」やビヨンセ 米経済支える夏のエンタメ消費 https://www.nikkei.c[...] 2023-09-01
[169] 간행물 예술·스포츠·취미/영화/영화의 기초지식, 《글로벌 세계 대백과》
[170] 간행물 예술·스포츠·취미/영화/영화의 기초지식/영화의 기초지식[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